목차
Chapter 1_ 사회과 구술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1. 사회과 구술평가, 왜 해야 할까
서로 평가 주체가 되는 상호작용적 평가
능동적 사고와 심층적 이해를 돕는 과정
좋은 질문에서 좋은 대답으로 연결하기 위해
2. 사회과 구술평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좋은 책과 텍스트 선정
래포(rapport) 형성
경청의 문해력
사회학적 상상력(Sociological Imagination)
좋은 질문하기
모두의 효능감을 높이는 피드백
잠재적 교육과정 이끌어 내기
Chapter 2_ 사회과 구술평가의 실제
1. 환경을 주제로 ‘직접’ 평가하기
[사회2]_『착한 소비는 없다』(최원형, 자연과생태)
2. 통계가 말하는 다문화사회, 통계로 말하는 문화다양성
[통합사회]_행정안전부 보도 자료(2023.11.8),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 참여자들의 태도와 성향 분석」(임동진·박진경, 한국정책과학학회보)
3. ‘능력주의는 공정한가’ 토론 말고 구술평가
[사회·문화]_『공정하다는 착각』(마이클 샌델, 와이즈베리)
4. ‘사회적 소수자’를 내러티브적 문해력으로 읽어 내기
[사회문제 탐구]_『공존하는 소설』(안보윤 외, 창비교육)
5. 정서적 공감대를 통한 사회과학 연구 방법의 실천
[사회과제 연구]_『울고 있는 아이에게 말을 걸면』(변진경, 아를)
6. 사회과학 연구 주제의 인사이트 넓히기
[사회과제 연구]_『내일의 세계』(안희경, 메디치미디어)
7. 핵개인화 시대, 사회변동 속 개인과 사회구조 파악하기
[사회·문화]_「칠드런 오브 맨」(알폰소 쿠아론)
8. ‘익숙한데 새로운’ 주제와 만난 구술평가
[사회]_『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조영태 외, 김영사)
9.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 자본주의 성찰하기
[경제]_『자본주의』(EBS 〈자본주의〉 제작팀, 가나출판사), 『녹색 계급의 출현』(브뤼노 라투르 외, 이음)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