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_ 직면하는 삶을 산다는 것은
추천의 글
아이의 경험에 따라서 물길이 생깁니다
잃어버린 교육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길잡이
1장. 따뜻하고 안전한 교실을 만드는 관계의 기술
아이들이 변화할 수 있을까요?
교육학이 가르쳐주지 않은 학생 이야기
가르치기 힘든 아이들
가르치기 힘든 아이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
교실을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기
일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행동의 경계를 가르치기
성찰을 돕는 ‘복기’ 질문
아이에게 집중하는 문제 해결 방식
감정의 기술
자기 효능감과 유대감을 느끼는 수업
삶의 태도를 배우는 그림책과 소설 읽기
나는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는 사람인가?
서른 번 실패하고 두 번 실패하지 않은 담임
2장. 서툰 부모를 성찰로 이끄는 부모 코칭
교사가 바라보는 학부모, 학부모가 바라보는 교사
서툰 부모가 느는 이유
보이지 않아도 연결된 관계
학부모와 한 팀이 되기
부모 코칭 어떻게 할까 1
부모 코칭 어떻게 할까 2
부모 코칭 어떻게 할까 3
부모들이 흔히 보이는 문제들
양육에 관한 잘못된 통념들
길을 찾는 아이들의 부모를 위해
아이에게 죄책감을 느끼는 부모를 위해
형제간의 사이가 나빠 고민하는 부모를 위해
아이를 무능하게 키우는 부모를 위해
이혼한 부모를 위해
3장. 세상에 나쁜 아이는 없다
완벽한 오빠를 둔 아이
“No!”라고 말하지 못하는 아이
외모 치장에 빠진 아이
‘욱’하는 아이
뒷담화로 잦은 갈등을 겪는 아이
산만한 아이
무기력한 아이
게임에 빠진 아이
또래 패거리가 삶의 중심이 된 아이
상처를 딛고 더욱 성장한 아이
부모의 심한 불화 속에 자란 아이
‘노는’ 패거리와의 또래애착의 늪을 빠져나온 아이
까칠한 아이
소심하고 불안이 높은 아이
엄마의 우울증으로 방치된 채 자란 아이
심한 왕따를 당했던 아이
더 바랄 것이 없는 아이
도둑질과 거짓말로 사랑을 구하는 아이
상이란 상은 다 휩쓰는 아이
교사를 모함하는 아이
4장. 매 순간 아이들을 직면하는 교사에게
교육과 양육
양육서비스 종사자 vs 공동 양육자
‘교권’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