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정서 기계로서의 인간
정서의 본질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정서
사랑의 화학적 구성 요소
2장 끌림의 법칙
유전자에 전부 다 있다
우리는 사랑에서 무엇을 찾을까?
옥시토신, 끌림의 연료
체형과 끌림
음악이 사랑의 양식이라면
냄새와 맛을 통한 끌림
반대가 끌리는, 그리고 비슷한 사람에게도 끌리는
각인과 끌림의 기반
피임약이 성적 끌림에 영향을 미칠까?
사랑의 수학
디지털 시대의 사랑
선택지에 대해 현실적으로 판단하기
3장 동성 간의 사랑과 끌림
성적 지향의 생물학
동성애의 진화적 이점은 무엇일까?
성적 지향은 유전일까?
환경과 ‘큰형 효과’
자궁 내의 테스토스테론 노출
무성애
4장 사랑에 빠지다
자제력에 대한 의문
섹스, 마약 그리고 사랑?
섹스가 뇌에 좋은 이유
섹스와 전립선암
전설의 여성 오르가슴
여성 오르가슴 대 남성 오르가슴
본성일까 양육일까
무너짐-사랑의 부작용
질투, 녹색 눈의 괴물
사랑의 비극
상심 증후군
상심한 마음을 어떻게 치유할까?
애착의 유형
5장 둘이 셋이 되면
호르몬의 어머니
아버지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아기가 아버지의 뇌에 미치는 영향
열정을 식히는 육아
억압 시스템과 압박 아래의 육아
6장 우리는 신의를 지키도록 프로그램된 존재일까?
쿨리지 효과
쿨리지 효과는 두 성별 모두에 나타날까?
쿨리지 효과와 우리의 성적 환상
신의의 문제
7장 승자독식
알파 수컷의 승리
가장 적합한, 그리고 가장 잘 적응한 종의 생존
수컷은 실제로 어떤 역할을 맡고 있나?
8장 인간은 일부일처로 타고난 존재일까?
일부일처의 유전학
일부일처와 육아
인간은 본성상 일부일처와 일부다처 중 어느 쪽일까?
일부일처제의 짧은 역사
9장 사랑의 미래
사랑을 나누는 관계는 미래에 어떻게 될까?
10장 오래가는 사랑을 위한 처방전
제대로 선택하는 법을 배우자
사랑을 나누며 옥시토신이 풍부한 관계를 맺는 법
쿨리지 효과를 극복하고 성적 흥분을 유지하는 법
적당히 다투고 코르티솔이 적은 관계 만들기
여성의 뇌와 남성의 뇌
결론
옮긴이의 말
주석 및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