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제1장 과잉 금융, 무너지는 금융 공공성
ㆍ 은행이 돈 많이 버는 사회는 위험하다
ㆍ 가계부채 증가로 누가 이익을 얻는가?
ㆍ 은행에서 50만 원을 못 빌리는 사람들
ㆍ 새마을금고 사태가 일깨운 금융 공공성
제2장 금융은 정치다
ㆍ 금융투자소득세보다 금융거래세가 낫다
ㆍ 문재인 정부, 세금으로 집값 잡으려다 실패 ·
ㆍ 공적자금을 통한 부실 금융기관 구제의 딜레마
ㆍ 중국 봉쇄를 부추기는 투키디데스 함정론
ㆍ 우경화로 대선 패배한 미국 민주당, 한국은?
제3장 금융은 규제다
ㆍ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와 금융감독
ㆍ 사모펀드가 온통 지배하는 세상
ㆍ BIS 비율 8%, 금융 이익을 지키는 숫자
ㆍ 은행의 자산금융 규제해야 가계부채 문제 해결
제4장 금융이 키우는 불평등
ㆍ 밸류업, 한물 간 신자유주의 프로그램
ㆍ 부의 집중을 부채질하는 가상자산
ㆍ 다주택자에게 혜택 돌아가는 특례보금자리론
ㆍ 국민 지원금, 그리고 돈 풀면 물가 오른다는 신화
제5장 중앙은행의 정치적 독립성은 허구
ㆍ 중앙은행의 정치적 독립성 따위는 없다
ㆍ 노동자를 옥죄는 물가안정목표제
ㆍ 노동조합은 정책금리 인하를 요구해야 하는가?
ㆍ 부동산 투기와 중앙은행 책임: 이와타-오키나 논쟁
부록
ㆍ 한국 금융 현실과 대안으로서 금융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