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도덕발달심리학 및 도덕교육이론 7
01 발달심리학과 도덕심리학 8
02 프로이트 17
03 에릭슨 24
04 행동주의 학습이론 30
05 밴두라 34
06 피아제 47
1. 인지적 구성주의 47
2. 인지발달론 50
3. 도덕성 발달이론 52
07 콜버그 58
1. 콜버그 도덕심리학의 메티윤리적 가정 58
2. 도덕성 발달 이론 63
3. 도덕 교육 방법론 72
08 레스트 80
09 나바에츠 89
10 튜리엘 98
11 길리건 105
12 나딩스 115
13 호프만 129
14 피터스 143
15 인격교육론의 특징과 유형 149
1. 인격교육론의 이론적 특징 149
2. 인격교육의 유형 156
16 리코나 159
1. 도덕성 발달이론 159
2. 통합적 인격 교육론 164
17 ‘덕 윤리’와 ‘덕 교육’ 171
1. ‘덕 윤리학’이란 171
2. 덕 교육론 175
18 프랑케나 180
19 뒤르켐 185
20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191
1.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특성 191
2.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200
21 구성주의 도덕교육론 203
1. 개인적 구성주의 203
2. 사회적 구성주의 208
22 도덕적 자아/정체성 이론 220
1. 데이먼의 도덕적 자아 이론 221
2.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 225
23 사회 정서 학습 230
24 윌슨 233
25 도덕적 지능 이론 240
26 커센바움 244
27 하이트 247
28 니산 259
제2장 도덕ㆍ윤리 교수학습 방법이론 267
01 협동학습 268
02 역할 채택과 역할 놀이 282
1. 역할 채택의 교육적 의의 282
2. 역할 놀이 모형 289
03 도덕적 딜레마 접근법 294
04 콘스탄츠 딜레마 접근법 301
05 가치명료화 접근법 307
06 가치갈등 접근법 315
07 가치분석 접근법 318
08 개념분석 접근법 324
09 배려 수업 모형 327
10 내러티브 접근법과 ‘도덕적 이야기’ 수업 모형 330
11 봉사활동학습 접근법 335
12 경험 학습 모형 338
13 고려 모형 340
14 사회행위 접근법 346
15 ICT 활용 학습방법 351
16 프로젝트 접근법 352
17 논쟁수업 접근법 358
제3장 도덕ㆍ윤리과 평가 365
01 교육과정의 평가지침 366
02 수행평가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