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ㆍ 004
1부 코로나19 이후, AI 시대의 대학 ㆍ 013
2부 누가 쓰는가 ㆍ 025
1장 삶과 앎을 연결하는 ‘나’의 언어 ㆍ 027
2장 공통 감각과 공감: 경험과 관찰로부터 쓰기 ㆍ 035
3장 사례 1: 생성의 장으로서의 교실-함께 읽기 ㆍ 051
4장 사례 2: 깊이 읽기의 어려움-독후감 평가 ㆍ 061
ㆍㆍㆍ 학생 글쓰기 사례: ‘나’/우리의 서사 쓰기 ㆍ 068
3부 어떻게 읽을 것인가 ㆍ 073
5장 읽기 환경의 변화와 독자 되기 ㆍ 075
6장 비판적 읽기와 분석적 글쓰기 ㆍ 089
7장 사례 3: 주제 구성 가이드-교수 멘토링 ㆍ 107
8장 사례 4: 논평의 네트워크-동료 튜터링 ㆍ 121
ㆍㆍㆍ 학생 글쓰기 사례: 분석적 글쓰기 ㆍ 133
4부 어떻게 쓸 것인가 ㆍ 145
9장 담화 공동체와 논증적 글쓰기 ㆍ 147
10장 (디지털) 자료 탐색과 문헌 검토 ㆍ 161
11장 사례 5: 학습 커먼즈와 쓰기 윤리 ㆍ 179
12장 사례 6: 글쓰기센터 튜터링-첨삭과 피드백 ㆍ 193
ㆍㆍㆍ 학생 글쓰기 사례: 논증적 글쓰기 ㆍ 199
5부 누가, 어떻게 쓰는가 ㆍ 205
13장 생성형 AI와 윤리적 쓰기 ㆍ 207
14장 AI 생성/쓰기의 효용과 한계 ㆍ 215
15장 사례 7: AI-인간의 하이브리드 생성/쓰기 ㆍ 229
16장 사례 8: 생성형 AI 프롬프트 글쓰기 사례 ㆍ 247
6부 탈진실 시대의 쓰기 교양 ㆍ 253
ㆍㆍㆍ 학생 글쓰기 사례: 개인 (자유) 글쓰기 ㆍ 259
부록 ㆍ 267
참고 문헌 ㆍ 289
미주 ㆍ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