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부 예지계
1강 _ 윤리는 어디에서 탄생하는가 : 물자체의 철학
기존 형이상학에 대한 불만 | 우리는 어떻게 세상을 경험하는가 | 이율배반, 세계의 비일관성 | 숭고와 무한자의 현시 | 소거될 수 없는 주체 | 정언명령과 형식적 특성 | 안티고네와 아이히만 : 주체의 자리
2강 _ 칸트의 물자체와 헤겔의 절대지
유한성과 절대성의 문제 | 물자체에 대한 헤겔의 비판 | 헤겔의 절대지
3강 _ 신적 폭력에 대하여
폭력 ‘비판’에 대하여 | 윤리의 무조건성과 예지계 | 생명 너머의 윤리 | 피를 흘리지 않는 죽음 | 예지적 순간
2부 악
4강 _ 자유와 필연성에 대하여
중립적일 수 없는 사랑 | 인식된 필연성으로서의 자유 : 스피노자 | 심연으로서의 자유 : 칸트 | 매개하고 소급하는 자유 : 헤겔
5강 _ 악에 대하여
악은 아무것도 아니다 | 덕과 부덕의 구분 | 인간은 돌멩이다 | 최선의 세계 | 인간은 두더지가 아니다 | 악은 실재한다 | 악, 윤리적 질서의 전도 | 「헤어질 결심」과 사랑의 숭고
6강 _ ‘허무에 대한 의지’에 대하여
허무를 향한 의지 | 원한과 타자 부정 | 죄와 자기부정 | 바탕으로서의 금욕주의적 세계 | 공백과 분열에 대한 욕망 | 그럼에도 불구하고 | 헤겔의 자기의식 | 절대적 부정과 추상의 운동 | 인간 본질로서의 ‘무’
7강 _ ‘운명애’에 필요한 것들
가능성에서 파생되는 부정 | 자유와 악 | 폐기된 물자체 | 과잉으로서의 권력의지 | 순환하는 시간? | ‘순간’이라는 문제 | 시간이 아닌 시간 | 반복들, 차이들
3부 보편성
8강 _ ‘환상’에 대하여
인간, 가장하는 능력 | 자유의지, 목적인, 신 | 변용능력으로서의 개체 | 화폐라는 물신 | 화폐물신주의 발생 과정 | 객관적 환상 | 정의라는 예지적 이념 | 숭고라는 예지적 물신
9강 _ ‘교육’에 대하여
‘질문’의 형식 | 이방인으로서의 주체 | 학부모의 ‘난입’ | 계몽이란 무엇인가 | 스스로 생각하라 | 자유로운 존재에 대한 자유의 교육
10강 _ 카프카의 세계에 대하여
가능한 최선의 세계 | 불능의 체계 | 제논의 역설 | 영원한 지연 | 거세된 주체 | 초월론적 태도와 절대적 반역
11강 _ ‘보편성’에 대하여
대립과 토포스 | 이성의 공적 사용과 사적 사용 | 이성의 사적 사용의 문제 | 토포스가 없는 학자의 자리 | 판단력의 문제 | 상상력과 보편자 | 사유와 타자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