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tep 1. 주식이 해치지 않아요-주식투자 경계 허물기
〔 Q1 〕 아이들과 주식과 돈 이야기를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20
〔 Q2 〕 저조차도 주식이 아직 두려워요. 두려움을 어떻게 하면 깰까요?·34
〔 Q3 〕 ‘투자 철학’을 어떻게 만드나요?·41
〔 Q4 〕 주식은 여윳돈으로 하라는데, 여유자금이 없어요.·50
〔 Q5 〕 아이 적금을 넣고 있는데 주식을 꼭 해야 할까요?·56
〔 Q6 〕 부동산은 실패가 없다는데 주식보다 부동산이 낫지 않을까요?·66
〔 Q7 〕 저는 아직 대출이 있어요. 대출을 먼저 갚아야 하지 않을까요?·70
〔 Q8 〕 아이 주식투자는 언제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76
〔 Q9 〕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성과는 그리 좋지 않다는데요.·84
〔 Q10〕 기관이나 외국인들과 비교해 개인투자자도 승산이 있는 시장인가요?·91
〔 Q11 〕 소액으로도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나요?·96
Step 2. 하루 1만 원씩! S&P500부터-지금 당장 펀드부터 시작하기
〔 Q1 〕 증여신고는 언제 어떻게 하나요?·106
〔 Q2 〕 어디에 계좌를 만들어야 하나요?·111
〔 Q3 〕 계좌가 여러 개예요. 어떤 계좌를 만드나요?·117
〔 Q4 〕 왜 1만 원인가요?·125
〔 Q5 〕 왜 S&P500인가요?·131
〔 Q6 〕 ETF가 정확히 뭐예요?·138
〔 Q7 〕 코스피200은 어때요? 어떻게 분산투자하나요?·146
〔 Q8 〕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펀드는 뭐예요?·155
〔 Q9 〕 투자상품을 고를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나요?·163
Step 3. 개별종목에 투자를 시작해요-내가 좋아하는 기업의 주인 되기
〔 Q1 〕 어떤 기업을 골라야 하나요?·174
〔 Q2 〕 구체적으로 어떤 비즈니스 모델이 좋은 건가요?·178
〔 Q3 〕 정보가 너무 많아서 어떻게 선별해야 할지 모르겠어요.·183
〔 Q4 〕 초보자들이 꼭 챙겨야 할 기업 정보는 무엇인가요?·187
〔 Q5 〕 기업의 적정가치를 분석할 때 어떤 것들을 봐야 하나요?·192
〔 Q6 〕 저평가된 기업을 어떻게 고를 수 있나요?·196
〔 Q7 〕 이런 내용을 다 알지 않고도 투자하는 방법은 없을까요?·200
〔 Q8 〕 삼성전자만 꾸준히 사도 될까요?·206
〔 Q9 〕 투자하지 말아야 할 기업이 있을까요?·210
〔 Q10 〕 같은 종목인데 우선주는 뭐예요?·215
Step 4. 투자한 걸 잊으세요. 단! 이때만 빼고요-투자자산 관리하기, 세상의 변화 관찰하기
〔 Q1 〕 스텝2 완료 이후 해야 할 것은 뭔가요?·220
〔 Q2 〕 목표수익률에 다다르면 팔아야 하나요?·224
〔 Q3 〕 관리에도 철학이 필요한가요?·229
〔 Q4 〕 언제 파는 것이 가장 좋은가요?·232
〔 Q5 〕 내가 투자한 기업이 망하면 어떻게 해요?·237
〔 Q6 〕 미래 가치가 어디에 어떻게 생길지 어떻게 아나요?·240
〔 Q7 〕 아이를 위해 모은 자금은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요?·246
Step 5. 아이에게 짐이 되지 않도록-엄마도 노후 준비하기
〔 Q1 〕 국민연금을 열심히 내고 있는데, 추가로 노후 준비를 더 해야 할까요?·252
〔 Q2 〕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요?·261
〔 Q3 〕 연금저축, IRP, ISA 어떻게 달라요?·267
〔 Q4 〕 투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요? 아이와 어떻게 차이가 날까요?·277
〔 Q5 〕 노후에 어떻게 자금을 꺼내 쓰나요?·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