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4
일상에서 찾는다 9
Ⅰ
천부경의 형성과 전개 과정
1. 천부경의 형성 과정 20
1) 환국 시대: 천부(天符)의 뜻, 언설화(言說化) 20
2) 배달 시대: 천부(天符)의 뜻, 문자화(文字化) 26
3) 고조선 시대: 백성들의 삶, 지혜화(智慧化) 35
2. 천부경의 전개 과정 51
1) 신라 시대: 최치원의 석벽 본(本) 천부경 52
2) 고려 시대: 민안부(閔安富)의 소장본 천부경 56
3) 조선 시대: 고조선 역사서와 신선도 관련 기록 수거·소각 60
4) 조선 말기: 전병훈의 천부경 주해 64
5) 일제강점기: 고조선 역사서 소각과 문화 말살 정책 66
6) 해방 이후: 천부경의 ‘위서’ VS ‘진서’ 논란 73
Ⅱ
천부경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
1. 자연의 섭리에 담긴 일(一)의 철학 98
1) 일(一)의 개념 98
2) 존재의 생성과 소멸 현상 106
(1)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108
(2)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 124
2. 우아일체(宇我一體) 속에 담긴 삶의 철학 139
1) 중도일심(中道一心) 142
2) 효충도(孝忠道) 152
3) 홍익인간(弘益人間) 160
3. 한민족 사상의 변천 과정 172
1) 하늘의 뜻을 실천하자는 인(仁) 사상 172
2) 올바른 삶의 가르침 팔정도(八正道) 사상 185
3) 도(道) 바탕으로 한 덕(德) 사상 199
Ⅲ
천부경의 한글화와 활용방안
1. 한글화의 필요성 219
1) 동양 우주관에 대한 재인식 219
2) 한글세대를 위한 천부경의 한글화 234
3) 한글 천부경의 미래 가치 함양 241
2. 활용방안 263
1) 열린 마음의 완성 266
2) 문화 공동체 형성 271
3. 어울림의 한마당 277
1) 시각적으로 표현된 한글 천부경 278
2) 청각적으로 표현된 천부가(天符歌) 291
3) 풍류가 담긴 삶터 292
Ⅳ
맺음말
▣ 어떤 삶을 선택해야 할까? 308
▣ 나를 먼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11
▣ 도움 주려는 사람이 넘쳐나는 세상을 만들자. 314
한민족의 연혁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