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보건 업무도 비대면 소통이 대세다
비대면 시대, 보건 업무는 어떻게 해야 하나? ㆍ 12
교직원 성교육 연수도 온라인으로 가능한가? ㆍ 19
충격은 충격일 뿐,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다 ㆍ 27
포스트 코로나, 대면과 비대면의 조화 ㆍ 34
보건 업무, 말과 글을 동시에 활용해라 ㆍ 40
글의 장점은 기록으로 남는다는 것 ㆍ 47
예방 교육은 메시지가 더 효과적이다 ㆍ 55
제2장 메시지 글쓰기, 이제 보건 업무의 중요한 수단이다
처음에는 메시지 쓰기가 불편했다 ㆍ 63
메시지 전송 전, 수정하고 또 수정해라 ㆍ 70
메시지 하나에 울고 웃는 교사들 ㆍ 77
메시지 전송에도 원칙이 있다 ㆍ 84
전, 중, 후 시차를 두고 메시지 보내라 ㆍ 91
메시지 쓰기에 익숙해져라 ㆍ 99
보건교사에게 글쓰기 역량이 필요하다 ㆍ 106
메시지를 활용하면 업무가 수월해진다 ㆍ 113
제3장 보건 업무의 루틴 메시지 글
전교생 요양호 학생 파악 ㆍ 121
고등학생 1학년 출장 검진 ㆍ 129
2 ㆍ 3학년 신체검사 ㆍ 137
소변검사 ㆍ 144
결핵 검사 ㆍ 151
교직원 심폐소생술교육 ㆍ 159
교직원들 성교육 연수 ㆍ 168
교직원 잠복 결핵 검사 ㆍ 177
제4장 메시지 쓰기 역량을 키우는 법
메시지도 글이다. 글쓰기에 강해져야 한다 ㆍ 186
글쓰기에서 특효약은 필사이다 ㆍ 192
필사는 자판으로 친다 ㆍ 199
점심시간 20분, 필사해라 ㆍ 207
오후 시간, 잠깐 독서로 머리를 식혀라 ㆍ 214
책 쓰기에도 관심을 가져라 ㆍ 221
보건 노하우 사장하지 말고 글로 쓰자 ㆍ 229
책 쓰기를 도전하면 메시지 쓰기는 쉽다 ㆍ 236
제5장 만만한 메시지 쓰기로 학교 건강 수준을 높여라
글로 소통하는 시대, 보건 업무도 예외일 수 없다 ㆍ 245
메시지는 업무 누락을 줄인다 ㆍ 251
말로는 한계가 있다. 글로 소통해라 ㆍ 258
메시지 글을 체계화해서 다음 해에도 참고해라 ㆍ 264
아차, 글 실수를 하더라도 핵심은 전달된다 ㆍ 271
메시지 쓰기를 불편해하지 말아라 ㆍ 278
메시지 쓰기로 학교 건강 수준을 높여라 ㆍ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