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5
1장 인사동 고미술 비화 13
가품 추사 대련의 비싼 수업료|현존 최고본 경국대전|젊은 자하의 석죽도|다산의 사랑과 하피첩|다산의 강진 유배 시절 편지|쥐의 수염으로 만든 붓, 서수필|헌종 임금의 보소당인존|김시습의 매월당집 희귀본|세계 유일본, 김상숙의 도상주역|대나무 지팡이와 배와의 죽장첩|서명균의 소고서첩|가장 기억에 남는 장서가, 김동욱 선생|김상옥 시인의 수석유향지도|물각유주, 완물상지|규장각 서리 장홍식 이력서|박종선의 능양시집|우리 역사 최초의 연극 대본책, 동상연의|다석 유영모의 위트 있는 과학책, 메트르
2장 추사와의 대화 89
추사 작품의 가격|세 가지 유물 이야기- 소영은, 복초재시집, 죽재·화서 대련|학예일치, 추사의 예서|제주 유배 시절 편지|강상 시절 간찰 속 완벽한 추사체|봉래각 현판 탁본 글씨|북청 시대 글씨의 백미, 진흥북수고경|친구를 위해 쓴 전당시서서|눌인 조광진과 강산여화|학문적 예단의 미사, 권돈인의 이재시축|추사 수택본 용대별집
3장 구로도무끼 145
연안이씨 가문의 양교영매첩|영원히 전해질 보배, 자수 십장생도|진재 김윤겸의 산수화, 농수정|표암 강세황의 마음쉼터, 고사한거도|미법필의로 그린 초여름, 현재 심사정의 수묵산수|노천 방윤명 화첩|어쩌면 김홍도의 청화, 팔괘매화연적|황산 김유근의 괴석도|망국의 팔능거사, 석재 서병오의 그림|하곡거사의 한거첩|야사와 정사 사이, 유하계마도|16세기 조선의 기념사진, 통례원계회도|잊혀진 우리 문화, 순장바둑
4장 잘 쓴 글씨와 좋은 글씨 199
만해수연첩의 한용운 즉흥 시와 글씨|위당 정인보 선생의 작은 글씨|입지전적 인물 한호의 석봉서|옛 선비들의 의리와 정, 남창잡고|4대의 이야기, 문목공 시한첩|사명대사의 날카로운 필획|좋은 글씨의 표상, 안중근 의사의 세심대|살아남은 자의 슬픔, 오준의 죽남서첩|확증 편향을 넘어 감별하기, 자하 대련|필결의 이론가 이서의 옥동서첩|윤순의 모든 글씨, 백하서첩|삼당시인 백광훈의 편지|원필의 대가 봉래 양사언의 목판서첩|한글 글씨를 발전시킨 여인들의 봉서|구당 유길준의 고뇌가 담긴 자작시
예술성만큼 중요한 내용, 일중 김충현 글씨|정조가 직접 쓴 이순신 신도비문의 탁본첩
5장 우리가 옛것을 좋아하는 이유 275
청음과 지천|조선 후기 문상 기록, 조객록|우정의 노래, 관서악부|조선 최초 골동품 수집가 김광수의 자찬묘지명|책 읽는 지식인 이덕무와 명시별재집|운양 김윤식의 시 한 수|한역 육법전서 초고와 독립운동 열사의 마음|자랑스러운 역사가, 단재 신채호의 을지문덕 전기|비범한 범인 김범부 초상
6장 사료의 진정한 힘 317
14세기 은니사경, 대방광불화엄경 권 제49|송준길 한글 편지 서첩|보이지 않는 인연, 자하의 아안사군수시|가장 좋은 조선 시대 목판본 책, 완구유집|임진왜란 이전의 귀한 시첩, 송계시권|조선 후기의 매화 유행, 동계매첩|석애 기행시집 속 사람 이야기|전별시문집 암연첩|전주최씨 지천가 서첩|십칠가해주금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