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홍석진)
2024 부식풍경2
부식풍경 속에서 만난 감만의 기억/ 김재환(경남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안녕, 감만동-사라진 마을에 대한 예술적 기억투쟁/ 박소윤(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장, 국제학 박사)
촉각되는 기억, 각인되는 기억 〈부식풍경 2〉/ 하영신(무용평론가)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레가토(Legato)/ 이성철(창원대 사회학과 교수)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찍어낸 커다란 판화/ 이일래(부산대 강사, 사회학박사)
부식으로 사라짐을 위로받다/ 허경미(무용가, 안무가)
부식되는 것은 감만동만이 아니다/ 허성준(무용가, 안무가)
Audience’s Articles/ 하은지(부산근현대역사관 주무관), 권명환(해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고윤정(영도문화도시센터장), 김태만(한국해양대 교수, 前국립해양박물관장), 박병민(사진작가)
2023 워킹감만
2023 어반쉘
2022 부식풍경
Artist’s Articles/ 강건(무용가, 안무가), 강민아(무용가, 안무가), 강정윤(무용가, 안무가), 박소희(무용가, 안무가), 이연승(문화기획자, 영상감독)
2021 초량비트
2019 콜링감만
2018 감만기억
마음을 어루만져주다/ 송교성(문화예술플랜비 대표)
페이드 아웃을 느리게/ 이세윤(〈함께 가는 예술인〉 편집장)
이미지의 사유에서 감각의 모험으로/ 이연승(문화기획자, 영상감독)
디지털 시대의 신심(信心)은 어떻게 가능한가/ 장현정(작가, 사회학자)
〈감만 기억〉으로 나열한 단어들에 대하여/ 창파(실험실C 아트디렉터)
증발해버린 도시, 예술로 나누어지는 기억의 무게/ 허소희(미디어활동가)
Artist’s Articles/ 강동환(무용가, 안무가), 엄효빈(무용가, 안무가), 허성준(무용가, 안무가)
Audience’s Articles/ 최예송(문화기획자)
2017 스트리밍시티
2016 다이얼로그
〈다이얼로그〉, 테크노에틱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논하다/ 정재형(경성대 교양학부 교수)
〈Dialog: 바이트의 궤적〉의 시도/ 김태희(영산대 교수)
아날로그/디지털, 존재론적 차이를 몸짓하다/ 김재환(경남도립미술관 학예사)
반가운 기술의 실패, 따뜻한 소통을 위하여/ 하영신(무용평론가, 공연해설가)
‘대화의 기본은 상대의 말 듣기’라는 것을 한 번 더 확인해 준 우리들의 〈다이얼로그〉/ 허경미(무용가, 안무가)
〈다이얼로그〉 작품의 의미 되새겨보기/ 이재은(무용가, 안무가)
내가 잠시 사라졌던, 그 하나의 순간/ 뮤지션 실람(천명실, 텐진 잉셀 Tenzin Ingsel)
〈다이얼로그〉 후기/ 김프로(뮤지션, DJ)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에 대한 문제의식/ 김일훈(인터랙티브 프로그래머)
작업을 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대화’의 연속이었던/ 김기석(영상작가)
2015 바디 오브 프로젝션스
영상과 몸, 그 움직임의 관계/ 김성연(부산비엔날레 집행위원장, 前부산현대미술관장)
융합의 스펙터클과 이미지 해석/ 김재환(경남도립미술관 학예팀장)
당신이 본 것은 무엇입니까/ 송교성(문화예술플랜비 대표)
1인칭의 권리/ 장현정 (작가, 문화사회학자)
〈바디 오브 프로젝션스〉를 보고/ 최찬열(공연예술평론가)
Artist’s Articles/ 허경미(무용가, 안무가), 엄효빈(무용가), 허종원(무용가)
2014 쿰바카
[부록 1] 작가론 & 인터뷰
한국적 디지털 미학의 중첩과 겹침/ 장현정(작가, 문화/예술사회학)
[부록 2] 작품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