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재난의 기록과 기억의 윤리−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사례를 중심으로 / 강희숙
1. 들어가며
2. 재난의 기록과 기억의 윤리
3. 인류의 유산이 된 1980년 5월의 기록
4. 5・18민주화운동기록관 탄생과 기억물 보존의 노력
5. 나오며
제2장 5・18 민주항쟁의 기억공간과 기억・기림물 / 노성태
1. 광주는 어디든 5・18 민주항쟁 장소
2. 5・18 사적지로 지정된 기억공간, 29곳
3. 5・18 기억장치와 기림물
제3장 여순항쟁의 기억과 인식 / 주철희
1. 들어가면서
2. 정부의 인식과 보도
3. 정부의 태도 변화
4. 여순항쟁과 계엄령
5. 나가면서
제4장 기억의 영토화(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세월호 기억공간 형성과정을 사례로 / 신혜란
1. 기억공간, 기억의 영토화의 결과물
2. 세월호 기억공간−기억교실, 광화문광장, 제주 리본
3. 물질적 변환을 통한 기억의 영토화: 안산 기억교실
4. 직접점유를 통한 기억의 정치적 영토화: 광화문 광장
5. 대안공간으로 옮긴 기억의 재영토화: 제주도 리본 기억공간
6. 기억공간의 생로병사, 끊임없는 형성과정
제5장 사회적 참사와 애도의 공간정치−10・29이태원참사를 중심으로 / 정원옥
1. 기억과 안전의 길
2. 기억공간의 역설
3. 이태원참사와 애도의 공간정치
4. 이태원참사 기억공간에 어떤 진실을 담을 것인가
제6장 한국인 원폭피해를 서사하는 기억공간−한국과 일본의 원폭자료관을 중심으로 / 김경인
1. 한국인 원폭피해의 현주소
2. 한국과 일본의 원폭자료관
3. 자료관 내외 전시를 통해 본 원폭피해의 기억
4. 한국인 원폭피해자에 대한 진정한 사죄는 기억과 기록
5. 비핵평화를 위한 기억공간으로
제7장 지진 재난의 기억공간 구축을 통해 본 재난 문화의 중일 비교 / 왕샤오쿠이
1. 재난 문화란 무엇인가
2. 종합적 방재 전략의 일환인 재난 기억
3. 재난기억의 자료 수집 및 공개
4. 재해 기억 공간의 구축
5. 재난 기억의 구축과 정치문화
6. 일본의 재해 기억 공간
7. 진정한 재난 문화 구축
제8장 재난의 기억, 교훈 계승을 위한 기억공간−일본의 재난 희생자 추모와 교훈 계승의 기억공간을 찾아서 / 라정일
1. 재난의 기록과 기억 그리고 전승
2. 재난의 기록, 기억공간에 대한 정의와 이론적 논의
3. 잊지 않기 위한 기억, 일본의 재난 기억공간 사례
4. 기록, 기억, 전승, 계승을 위한 재난 기억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