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자존감의 수준이 의사소통의 모양을 결정한다
Part 1 당신의 자존감, 낮을 이유가 없다
1장 자존감 숨바꼭질
자존감은 어떤 모양일까? 자존감의 본질과 의미
자존감을 구성하는 요소: 사랑, 유능감, 자존감
자존감이 낮아지는 세대별 원인
자존감이 낮은 사람 VS 자존감이 높은 사람
그렇다고 자아와 자존감이 죽는 것은 아니다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자존감 알아채기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다시 무대에, 가수 김혁건
2장 자존감, 너 어디서 왔니?
국가와 민족, 세대에게 물려받는 특성
개인의 환경과 학습(경험)에 대한 주관적 평가
내가 바라보는 나, 타인이 평가하는 나
자만 혹은 절망을 부르는 타인과의 비교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부모의 영향
인지 왜곡에 따른 완벽주의 추구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나의 자존감은 어디에서 왔을까?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메이저리거의 꿈,
우간다 청년 카숨바 데니스
3장 자존감 사닥다리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내부적 요인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외부적 요인
실생활에서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햇살 버튼과 얼음 버튼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장애인 트라이애슬론 국가대표 김황태
4장 나쁜 자존감, 좋은 자존감
무엇이 자존감의 모양을 결정할까?
나쁜 자존감을 만드는 사람 그리고 경험
좋은 자존감을 만드는 사람 그리고 경험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자기 가치감 테스트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지휘자 손인경과 발달장애인 오케스트라
‘사랑챔버’
Part 2 마음을 찌르는 말, 꿀송이 같은 선한 말
1장 자존감 비추는 거울 ‘의사소통’
자존감과 의사소통의 관계와 중요성
의사소통의 다섯 가지 유형과 방식
건강한 의사소통 VS 건강하지 않은 의사소통
의사소통 망가뜨리는 ‘거칠고, 폭력적인 말’
의사소통의 정석, 경청과 사랑의 언어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검사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헝그리 복서에서 성악가로,
동양의 파바로티 테너 조용갑
2장 맛있는 의사소통 레시피
완전하고 완벽한 의사소통은 없다
맛있는 의사소통 레시피 준비물
건강한 의사소통의 기본, 고맥락·저맥락 언어
사람의 마음을 얻는 여섯 가지 의사소통 기술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인간관계 유형 검사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아버지의 사명이 나의 사명으로,
현대종교 탁지원
3장 살리는 의사소통, 죽이는 의사소통
언어 냉장고 속 좋은 언어, 나쁜 언어
살리는 의사소통의 우선순위
불통과 소통을 가르는 한 끗 차이
아름다운 대인관계를 위한 감정 수용법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나의 경청 수준 테스트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한국 축구 역사이자 영웅, 김용식
4장 의사소통 오케스트라
좋은 관계를 맺는 대인기술의 핵심
원활하고 건강한 의사소통의 숨은 조력자
천상의 하모니를 위한 의사소통 필수 기술
〈나를 발견하는 심리 놀이터〉 적극적 경청과 심층적 공감,
좋은 질문과 나 전달법 연습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 용기 있는 고백, 가수 장재인
에필로그_나와 당신은 사랑과 유능감을 가진 존재입니다
참고 문헌(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