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ⅱ
01_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개념과 이론 1
제1절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개념 3
제2절 직업능력개발훈련 관련 이론 8
제3절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기능 21
02_ 국가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체계와 재원조달 유형 35
제1절 숙련체제별 직업훈련체계 유형 37
제2절 훈련기금 중심의 훈련비 재원조달 유형 40
03_ 우리나라 직업능력개발훈련 정책의 변천과 특성 57
제1절 1975년 이전 직업훈련 시기 60
제2절 1975년∼1995년 사업내직업훈련 의무제 시기 65
제3절 1995년∼1998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 사업내직업훈련 의무제 병존 및 1999년 이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시기 74
제4절 특성 79
04_ 우리나라 직업훈련 추진 체계 및 지원제도 85
제1절 관련 법령 87
제2절 직업훈련의 공급자 vs. 수요자 94
제3절 직업훈련 정책 추진 기관 98
제4절 직업훈련 지원 제도 101
05_ 직업능력개발훈련 품질관리 127
제1절 품질관리의 개념과 요소 129
제2절 직업능력개발훈련 심사평가 139
제3절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 153
제4절 직업능력개발훈련 모니터링 160
제5절 직업능력개발훈련 지도감독 166
06_ 역량중심 직업능력개발체계 구축 179
제1절 역량중심 직업능력개발 개념 181
제2절 역량중심 직업능력개발 국외 사례 187
제3절 역량중심 직업능력개발 관련 제도 195
07_ 자격제도 및 숙련기술장려시책 213
제1절 자격의 개념 및 기능 215
제2절 자격의 유형(국가자격 vs 민간자격) 217
제3절 국가기술자격 운영 개요 220
제4절 국가기술자격 취득 방법 223
제5절 숙련기술장려정책 현황 229
08_ 직업능력개발훈련 기본 정책 방향: 기본능력 정책 계획을 중심으로 235
제1절 직업능력개발훈련 정책 추진 성과와 한계 237
제2절 직업능력개발훈련 정책 추진 방향 243
제3절 직업능력개발훈련 정책과제 249
09_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현재 이슈와 미래방향 259
제1절 직업능력개발 정책·사업 이슈와 쟁점 261
제2절 직업능력개발훈련 미래 방향 284
부록_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 회고와 제언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