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7
가. 형이상학의 필요성 - 7
나. 20세기의 형이상학자, 들뢰즈 - 16
1. 플라톤에서 니체로 전환된 형이상학 29
가. 플라톤 - 30
⑴ 실체에서 사건으로 - 30
⑵ 일자로부터 순수한 다수성으로 - 41
나. 니체 - 49
⑴ 니체에 대한 기존의 몇 가지 해석 - 49
⑵ 니체에 대한 들뢰즈의 해석 - 53
2. 19세기와 20세기 과학의 종합 63
3. 몸 95
가. 지각 - 99
⑴ 지각은 인식을 준비하는 것인가 - 99
⑵ 지각은 행동을 준비하는 것이 아닐까 - 102
⑶ 지각은 질문 - 106
⑷ 지각은 감산 - 109
나. 내부와 주관 - 112
⑴ 의식적 지각의 탄생 - 115
⑵ 지각에 대한 상식의 소박한 신념 - 118
다. 감응, 영혼의 다양한 움직임 - 119
⑴ 감각, 정념, 감응적 감각 - 119
⑵ 고통/통증douleur은 왜 하필 그 순간 나타나는가? - 123
⑶ 감응은 지각에 끼어든 불순물 - 128
4. 몸과 마음을 잇는 다리: 기억 131
가. 습관과 기억 - 133
나. 뇌, 운동중추인가 기억중추인가 - 142
다. 연합의 원리의 불충분성 - 145
라. 몸과 마음의 계열 - 147
마. 기억은 뇌에 보존되는가 - 152
바. 그래도 다시 묻는다면, 마음은 어디에 있는가 - 155
5. 정신 159
가. 정신은 물질과는 별도로 존재하는가 - 159
나. 주의작용attention - 162
다. 분석과 종합 - 166
라. 원뿔, 기억의 형상 - 170
6. 실재와 사실 175
가. 실재 - 현실적, 잠재적, 가능적, 실재적 - 175
나. 실재성과 원인 - 181
다. 사실에 대한 지각과 실재에 대한 직관intuition, 미분과 적분 - 190
라. 명석clear 판명한distinct 관념 VS 명석 혼란한confuse 관념/ 애매obscure 판명한 관념 - 202
7. 시간 207
가. 현재 - 210
나. 순수 기억 - 212
다. 과거와 미래, 정신과 물질 - 216
라. 시간의 함수 - 220
8. 개체와 개체화 223
가. 성격과 무의식 - 223
나. 개체와 개체화의 문제 - 226
⑴ 개체화의 문제에 대한 중세인의 고민 - 228
⑵ 둔스 스코투스의 개체화 문제 - 235
⑶ 들뢰즈가 발전시킨 스코투스의 유산 - 242
9. 물질과 정신의 문제 257
가. 사유와 연장 - 257
나. 양과 질 - 261
다. 구별은 존속하지만 결합union은 가능하다 - 269
라. 들뢰즈: 생명, 유기적 생명과 비유기적 생명 - 275
참고문헌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