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융합, 창의성, 미래 역량 교육은 ‘공동 뇌’로 수렴한다
1장 융합에 대한 오해
1. 융합의 과정: 다윈의 사례
2. 보편적 작업으로서의 융합의 본질과 조건
3. 융합 인재 교육은 어불성설이다
4. 융합의 줄기세포
5. ‘융합’과 ‘무전공’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대한민국
6. 생성 인공지능의 도전
7. 인공지능은 몸을 가질 수 없다
8. 인문학은 과학일까?
9. 과학은 인문학일까?
10. 자연어와 수학을 모두 잘 구사한다는 말의 의미는?
2장 공동 뇌 프로젝트
1. 인간다움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
2. 생각이란 사람들 사이에 있는 섬이다
3. 개인 뇌에서 공동 뇌로
4. 개인 지능이 아닌 공동 지능이다
5. 창의력은 개인의 것인가?
6.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인간이라는 종
7. 공동 뇌와 불평등 분배 문제
3장 미래 역량 교육
1.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하는 걸까?
2. 왜 새로운 교육이어야 하는가?
3. 인문학의 재정의: ‘학문 연구’와 ‘교육’을 구분하자
4. 확장된 인문학 교육은 재교육과 융합의 발판이다
나가며: 공동주의와 공동 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