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차 례
들어가는말
1장 칸트와 하이데거
1. 하이데거의 칸트 해석 배경
2. 하이데거 해석의 폭력성?
3. 『비판』의 현상학적 해석
4. 『비판』과 ‘칸트책’의 구성
5. 이 책의 구성 및 진행
2장 칸트책 읽기
제1편 형이상학 정초의 단초
제2편 형이상학 정초의 실행
A. 형이상학 정초 실행을 위한 소급 차원의 규명
B. 존재론의 내적 가능성 구상을 실행하는 다섯 단계
정초 1단계 순수인식의 본질요소들
정초 2단계 순수인식의 본질 통일성
정초 3단계 존재론적 종합의 본질 통일성의 내적 가능성
정초 4단계 존재론적 인식의 내적 가능성의 근거
정초 5단계 존재론적 인식의 완전한 본질 규정
제3편 형이상학 정초의 근원
A. 정초된 근거 특징짓기
B. 두 줄기의 뿌리로서 초월론적 상상력
C. 초월론적 상상력과 인간적 순수이성의 문제
제4편 형이상학 정초의 반복
A. 인간학에서 형이상학 정초
B. 인간 유한성의 문제와 현존재의 형이상학
C. 기초존재론으로서 현존재의 형이상학
3장 하이데거와 칸트
1. 해석의 폭력성 재고
2. 칸트와 하이데거, ‘칸트책’과 『존재와 시간』의 거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