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판소리의 풍요, 국악의 융성
추천사1 진골 출신이 소개하는 판소리 미학의 모든 것 / 전통 문화콘텐츠연구원장 김승국
추천사2 판소리문화를 이해하는 지름길 /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장 유영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시각과 목적
제2절 연구사 검토 및 연구범위
제2장 판소리 예술 탄생의 원류적 배경
제1절 문학적 배경
제2절 음악적 배경
제3절 연희적 배경
제3장 판소리 예술 형성의 사조적 기반
제1절 평등주의 세계인식과 주변문화의 부상
제2절 민족의식의 고양과 민족문화의 재발견
제3절 음악의 대중화와 풍류문화의 성행
제4장 판소리 문화접변의 초기적 양상
제1절 연행 현장에서의 접변
1. 판소리와 인접 장르의 접변
2. 판소리광대와 가객 예인들의 접변
제2절 판소리 사설에서의 접변
1. 판소리와 타 문예 양식의 접변
2. 판소리와 회화 양식의 접변
제5장 문화접변의 심화와 전형화 과정
제1절 창작을 통한 접변과 전형화의 양상
1. 판소리 현장의 문예적 외현
2. 판소리 고유미학의 발견과 속미주의적 경향
3. 유가 미의식의 강조와 정리의 합일 지향
제2절 이론을 통한 접변과 전형화의 양상
1. 판소리의 비평담론
2. 명창을 위한 교육론
3. 창법의 개발과 류파의 정립
제3절 미의식의 변모와 전형화의 양상
1. 사설의 아속 융합과 ‘화’의 미학
2. 선율의 변화와 ‘화’의 미학
제6장 판소리의 미학적 의의와 새로운 가능성
제1절 판소리의 미학적 의의
제2절 현재의 판소리와 미래의 판소리
제7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