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 프롤로그 - 권지연
서론: 감사의 말 - 노라 A. 테일러, 보레스 리
1. 들어가는 글: 누가 동남아시아 예술을 말하는가 - 노라 A.테일러(조미영)
2. 동남아시아 근대미술을 대표하는 세 예술가 - 존 클라크(김은정)
3. 베트남 현대미술: 끝나지 않은 여정 - 보이트란 휀-비아티(김미소)
4. 동남아시아 이슬람 근현대미술의 문화정치 - 케네스 M. 조지(조미영)
5. 스펙터클 시대에 저항하는 태국 예술가들 - 산드라 케이트(조미영)
6. 호치민으로 귀환: 현대 베트남 디아스포라 예술가-기획자 - 비엣 레(김미소)
7. 초(국가)적인 주제와 번역: 솝힙 피치의 예술과 신체 언어 - 보레스 리(조미영)
8. 첫 번째 점, 중심점: 현대적-토착적 자바적-세계적 바틱 예술의 창조와 연결 - 아스트리 라이트(김미소)
9. 열대에서의 방향전환: 작가-큐레이터 - 패트릭 D.플로레스(김미소)
10. 사랑의 추정:우정과 담론의 밀도 탐구 - 리 웽 초이(조미영)
11. 특수한 감각: 육체의 눈에서 시각을 비우다 - 플로데트 메이 V.다투인(김미소)
12. 기억기술적 정치:리티 판의 영화 기록을 통한 캄보디아 과거로의 회귀 - 애슐리 톰슨(김미소)
13. 제이 코, 추 위엔과의 대화 - 그랜트 케스터(김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