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추천사
PART 1
국악에 대한 오해와 진실
01 국악은 다 느린가요?
02 국악은 정간보만 사용하나요?
03 국악은 한이 생명인가요?
04 국악은 꼭 한복을 입고 해야 하나요?
05 국악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졌나요?
PART 2
이 정도만 알아도 국악 마스터
06 일상 속 국악 장르
07 자연의 소리를 닮은 국악기 소리
08 국악 역사 파헤치기
09 조선시대의 다양한 악보
10 음악이론서의 넘버원 『악학궤범』
11 부부의 ‘금슬’은 악기의 이름
12 그림 속 국악 살펴보기
13 전방위 천재 뮤지션, 세종대왕
14 지하철에서 만나는 국악
15 표지석 따라 국악 여행
16 영화 속의 국악
17 3대 악성은 누구인가?
18 국악기 베이스의 3대장
19 바다를 잠재우는 만파식적 설화
20 판소리 다섯 마당에 대하여
PART 3
국악곡에 숨은 비밀
21 백성과 즐기는 〈여민락〉에 숨은 이야기
22 판소리 일곱 마당이 사라진 이유
23 뜻도 유래도 모르고 부른 〈아리랑〉
24 유행 좀 안다는 사람들의 〈영산회상〉
25 사물놀이, 네 개의 악기로 세계를 놀라게 하다
26 귀신을 부르는 〈종묘제례악〉
27 국악계의 〈바이엘〉, 〈도드리〉
28 부처핸섬, 범패의 힙함
29 흐린 기억 속의 가곡
30 시나위는 재즈와 통한다
31 이 세상 세련미를 뛰어넘은 수제천
32 선조의 희로애락을 담은 민요
33 신한류, 〈대취타〉
34 화합에는 풍물놀이가 최고
35 잡가는 19세기의 K-POP
36 산조는 흩어진 가락을 모은 최고의 독주곡
PART 4
알면 더 좋은 국악에 대한 몇 가지 지식
37 500명에게 국악을 묻다
38 크로스오버 국악이란?
39 방구석 국악 플레이리스트
40 마지막에 읽는 책 사용설명서
도판 출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