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Acknowledgements
서장
1장 아시아 설화 연구 동향과 문학생태학
I. 아시아 설화의 연구시각
II. 문학생태학 관점에서의 아시아 설화 연구 동향
2장 문학생태학과 아시아 생태설화의 연구 과제
I. 민담과 경험담에서 발견한 아시아 생태설화
II. 아시아 생태설화의 생태미학과 연구 방향: 인간과 자연의 화해
III. 문학생태학 관점에서 본 아시아 설화 연구의 과제
3장 17세기 재난문학 『어우야담』을 통해 본 조선의 재난과 인간존중정신
I. 17세기 재난문학으로서의 『어우야담』
II. 『어우야담』 재난담의 분류와 제재
III. 『어우야담』에 그려진 16~17세기 재난 상황과 대응
IV. 인간존중정신과 계승
4장 인도네시아 설화집에 그려진 재난과 생태적 삶
I. 인도네시아 설화와 생태 문제
II. 홍수·가뭄 재난과 징벌의식
III. 생태적 삶과 공생·평화 이야기
5장 아시아 4개국 생태설화를 통해 보는 생태계 회복의 문제
I. 아시아 생태설화 비교 연구의 시각
II. 아시아 4개국 생태설화 목록과 분류
III. 한·일·인니·필의 생태설화 유형과 생태의식
IV. 설화를 통한 생태교육과 문화다양성 인식
작품 번역: 〈물고기를 싫어하는 마을〉
6장 아시아 선악형제담에 그려진 선악관념과 생명존중사상
I. 선악형제담과 문화소통
II. 아시아 선악형제담의 서사적 특징과 문화요소
III. 선악형제담에 나타난 선악관념 및 문화상징 비교
작품 번역: 〈황금수박〉
7장 한·중·일 동물보은담을 통해 보는 인간과 야생동물의 공존 문제
I. 인간과 야생동물의 교감과 공존
II. 한·중·일 민담집의 성격과 동물보은담
III. 한·중·일 동물보은담의 서사와 생태의식
IV. 동물보은담과 공생의 원리
8장 이주 경험담을 통해 보는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문화소통 방안
I.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시각
II. 이주 경험담을 통해 보는 동남아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이주 및 정착
III. 환대와 상호문화주의의 시각에서 본 결혼이주여성의 삶
종장
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