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너, 진짜 안전요원 맞아?
저자 인사말: 왜 이 책을 써야만 했는가?
1장: 안전요원의 정의와 역할
1.1 안전요원이란 누구인가?
1.2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역할
1.3 안전요원의 고용 형태와 책임 구조
2장. 수학여행 안전요원의 기본 자세
2.1 수학여행의 목적과 안전요원의 역할
2.2 안전요원의 법적·윤리적 책임
2.3 사고 예방을 위한 기본 원칙
3장: 안전요원의 중요성과 현재 과제
3.1 안전요원이 없는 수학여행의 위험성
3.2 무자격 안전요원의 문제와 개선 방향
3.3 학생과 교사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4장: 응급처치의 기초
4.1 응급처치의 정의 및 필요성
4.2 응급상황 대처의 기본 단계(DRABC)
4.3 응급키트 구성 및 사용법
4.4 개인 보호 장비(PPE)의 중요성과 사용법
4.5 응급상황 시 주변인 활용법
4.6 소통과 심리적 안정 제공
4.7 응급처치의 목적과 한계
5장: 주요 응급상황과 대처 방법
5.1 심폐소생술(CPR)
5.2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5.3 출혈 종류 및 지혈 방법
5.4 상처 관리 드레싱 및 붕대 감기
5.5 골절과 탈구 응급처치
5.6 쇼크 및 과민반응 대처
5.7 화상 응급처치
5.8 익수 사고 대처
5.9 열사병 및 저체온증 대처
5.10 경련 및 발작 대처
5.11 질식 및 기도 폐쇄 대처
5.12 중독 및 약물 과다 복용 대처
5.13 벌레 물림 및 동물 공격 대처
5.14 응급상황 기록 및 보고
6장: 사고 예방과 안전관리
6.1 수학여행 전 점검 사항
6.2 이동 및 활동 중 안전 관리
6.3 비상 대피 및 보고 절차
7장: 안전요원의 자기 관리
7.1 스트레스 관리와 심리적 준비
7.2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중요성
7.3 자기관리 전략과 실천 방안
7.4 정신적 회복과 지속적인 동기 부여
8장: 안전요원을 위한 교육과 훈련
8.1 안전요원 교육의 필요성
8.2 체계적인 훈련 과정 설계
8.3 디스탑안전교육의 전문 교육 과정
9장: 안전요원으로서의 마음가짐
9.1 사명감과 책임감
9.2 안전 전문가로서의 자부심
10장: 준비된 안전요원이 되는 길
10.1 학생과 교사의 생명을 지키는 마지막 방어선
10.2 안전요원의 전문성과 미래
- 저자의 소감
- 마무리하며
부록
부록 1: 안전요원 주간근무일지 및 안전점검표
부록 2: 안전요원 야간근무일지 및 안전점검표
부록 3: 현장체험학습 응급상황발생 보고서
부록 4: 응급구호관리자 전문과정 소개 및 과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