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서론
1. 연구 대상과 목표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론 및 자료
4. 천리마운동의 전개 과정 및 특성
| 1부 | 음악에 대한 당-국가의 관리 및 통제
1장 해방 후 북한 음악 생산·보급 체계의 조직
1. 해방 후부터 한국전쟁 이전 (1945.8.15~1950.6.25)
2. 한국전쟁 시기 (1950.6.25~1953.7)
3. 정전 후부터 천리마운동 이전 (1953.7.27~1956.12)
2장 당적 사상 체계의 확립과 음악을 통한 당 정책의 구현
1. 1957년 제2차 조선작곡가대회의 계획과 무산
2. 당적 사상 체계 · 당적 지도 체계의 확립
3. 음악 작품을 통한 당 정책의 구현 및 문예조직 개편
4. 당의 문예정책과 음악에 관한 김일성 교시
3장 음악 생산 및 보급 체계에 대한 지도 및 통제
1. 음악 생산 및 보급 조직으로서의 극장 창조 집단
2. 〈극장 예술 기준 창조 준칙〉의 제정과 레퍼토리 확보 문제
3. 레퍼토리의 질 제고 문제 및 당적 지도 체계의 확립
4. 천리마창작단운동의 전개
| 2부 | 천리마 시대 음악 작품의 창작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원칙
4장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음악적 적용
1. 소련 음악에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원칙
2. 북한 음악계의 구성 및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
5장 현대음악에서의 ‘민족적 특성’
1. 소련을 향해 배우기: 교향악 운동의 전개
2. 현대음악에서의 주체 확립: 민족적 인또나찌야와 심포니즘
3. 가극에서의 현대적 테마와 새로운 장르의 개척
4. 가극 음악 극작술의 합법칙성
6장 민족음악에서의 ‘현대성’
1. 탁성 논쟁 및 창극의 음악적 정의
2. 민요 창극의 개척과 현대적 주제의 도입
3. 1962년 3월 11일 교시와 창극의 소멸
| 3부 | 인민대중들의 음악 생활 및 음악 수용 양상
7장 군중가요, 선전·선동의 수단이자 인민 생활의 친근한 동반자
1. 해방 후 군중가요의 창작 및 보급
2. 천리마운동 시기 군중가요: 천리마 현실을 반영한 노래
3. 군중가요의 사회교양자적 역할 vs. 대중성
8장 인민대중들의 음악 활동 참여
1. 해방 후 써클 활동의 조직
2. 천리마운동 시기 음악 써클: 생산 활동과의 밀접한 연계
3. 군중 창작 운동 및 써클 음악에서의 민족적 특성의 강화
9장 음악에 관한 대중들의 요구와 노래부르기 실천의 의미
1. 자기 생활을 반영한 노래
2. 대중들의 음악적 취향: 직종별 · 세대별 · 성별 차이
3. 부르기 쉬운 노래
4. 노래부르기 실천과 자기 규율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