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제1부 동양학의 현재를 진단하다
천인호 | 오키나와의 비보풍수: 석감당 이야기
허영훈 | 바닷가 어촌마을에도 풍수는 있다
김덕동 | 외암리 민속마을의 풍수적 입지와 인걸지령
김헌철 | 신라 왕도 경주에 반영된 풍수 원형
정다은 | 조선 풍수의 산실, 관상감터의 풍수는?
박보빈 | 전통마을의 풍수 비보를 찾아서
김대우 | 정조의 효심, 풍수로 실현하다
지영학 | 조선시대 광산김씨 가문의 번영, 풍수에서 찾다
신현주 | 한국 재벌기업 창업자의 인상을 논한다
천인호 | 조선 사대부의 인상을 논하다
제2부 동양학의 미래를 설계하다
이출재 | 파동으로 풍수명당을 찾는다
손진수 | 통일한국의 수도는 개성이다
김동영 | 풍수로 영국 신도시 입지를 평가하다
임병술 | 풍수로 환경을 평가하다: 풍수영향평가의 개발과 적용
서춘석 | 풍수 형국론의 옥녀봉을 수치지도로 읽다
최승규 | 21세기 장례문화, 수목장이 대세다
박선영 | 음양오행의 색채로 공간을 디자인하다
성낙권 | 어떤 모양의 얼굴 인상이 보험영업의 달인인가?
김은숙 | Holland 직업가치와 명리학의 직업가치를 융합하다
김은선 | 직무만족을 사주명리학으로 평가하다
노희범 | 고객 관점에서 바라본 사주 상담기법의 향후 발전과제
천인호 | 사주의 재물운이 좋으면 부자가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