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 어떤 학교여야 하는가?
Ⅰ부. 왜 학교에서의 팀리더십인가?
지금 우리 학교는
팀으로서의 학교
팀리더십이란 무엇인가?
팀리더십을 가진 집단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팀리더십의 발현을 위한 핵심 전략
함께 사유할 문제들
: 팀리더십과 개인 간의 균형, 혹은 조직 이론과 교육의 신비 사이의 유격
Ⅱ부. 팀리더십, 어떻게 만들 것인가?
1장. 환대와 공감의 공동체
환대와 공감, 왜 필요한가?
_ 환대와 공감, 공동체의 시작이자 끝
_ 환대, 단단하면서도 따뜻한 마음으로 마주하기
_ 환대는 다시 우리에게 돌아온다
환대와 공감의 관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환대와 공감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제언
2장. 비전과 규범, 약속을 공유하라
학교의 비전, 왜 필요한가?
비전을 만들기 위해 고민해야 할 세 가지
비전, 어떻게 만들까?
공유된 비전의 놀라운 힘
비전 세우기, 성찰하기 워크숍 활동 사례
3장. 수평적 회의문화와 권한위임
수평적 회의문화와 권한위임, 왜 필요한가?
수평적 회의, 어떻게 만들까?
회의 결과 실행하기
수평적 회의시스템이 문화가 되기 위해서는
4장. 교사의 성장을 이끄는 학습공동체
학습공동체 구축, 왜 필요한가?
학습공동체, 어떻게 구축할까?
_ 학년 및 교과의 교육과정 팀 조직과 운영
_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시스템 구축과 운영
_ 교실을 개방하고 교육 실천을 공유하기
_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규범으로 함께하기
_ 학교의 경계 세우기
_ 공동으로 연구하고 공동으로 실천하기
_ 학습지원 환경 구축하기
5장. 팀의 갈등 다스리기
갈등 다스리기, 왜 필요한가?
갈등 다스리기, 어떻게 할까?
_ 혁신적인 리더교사와 구성원 사이의 갈등 다스리기
_ 구성원 사이의 갈등 다스리기
_ 교장과 구성원 사이의 갈등 다스리기
_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갈등 다스리기
갈등 다스려 성장으로 나아가기
_ 갈등과 만나기
_ 갈등 활용하기
_ 공동체의 이야기
6장. 진단과 성찰로 가꾸는 학교조직문화
학교조직문화의 진단과 성찰, 왜 필요한가?
_ 학교의 토양, ‘학교조직문화’
_ 학교조직문화와 팀리더십
_ 학교조직문화 진단의 의의
학교조직문화 진단과 성찰, 어떻게 할까?
_ 학교조직문화 진단을 위한 도구들
_ 다양성을 살리기 위한 구성원의 특성 진단 워크숍
학교조직문화 진단을 위한 제언
_ 학교조직문화 진단 시 고려할 점
_ 조직문화의 긍정적 변화
7장. 팀이 되는 최고의 순간: 합의와 성찰의 교육과정
합의와 성찰의 교육과정 함께 만들기, 왜 필요한가
_ 개인의 리더십을 넘어 팀리더십으로
_ 팀리더십 기반 합의와 성찰의 교육과정 설계의 의미
팀리더십 기반 교육과정,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_ 팀 기반 학교교육과정 로드맵 설계
_ 팀 기반 학교교육과정 워크숍
팀리더십 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제언
Ⅲ부. 팀리더십 실행의 실제: 교방초등학교 이야기
교방초등학교는
교방초등학교의 팀리더십 성장기
_ 환대와 공감의 관계 리더십
_ 비전을 이끄는 리더십
_ 수평적 회의문화와 분산적 리더십
_ 학습하는 조직을 위한 리더십
_ 갈등을 다스리는 리더십
_ 조직 진단과 성찰의 리더십
_ 교육과정 리더십
교방초등학교의 시사점
남은 이야기: 팀리더십, 이상과 현실 사이의 질문들
_ 과연 팀리더십이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가?
_ 리더십을 가진 누군가가 없다면?
_ 개인이 집단에 묻히는 것은 아닌가?
_ 교사가 무엇을 더 해야 하는 것인가?
_ 우리 학교의 노력만으로 되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