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옮긴이의 말
머리말
개정판 서문
서론: 왜 마르크스인가?
1. 어떤 도항渡航과 책 하나
2. ‘마르크스’라는 암호
3. 무엇이 문제인가?
제1장 실종된 청춘기
1. 우리가 확실히 아는 것
2. 목가牧歌와 극빈상태 사이의 트리어
3. 카를 마르크스의 양친
4. ‘헌정 약속’에서부터 ‘7월 혁명’을 거쳐 ‘프랑크푸르트 경비대 습격’까지
5. 트리어의 1834년 문인 사랑방 사건과 하인리히 마르크스의 정치적 견해
6. 아버지뻘 친구 요한 루트비히 폰 베스트팔렌
7. 김나지움에서의 카를 마르크스
8. 속박과 자극
제2장 길의 시작과 최초의 위기
1. 본에서의 막간극
2. 예니 폰 베스트팔렌
3. 베를린에서의 첫해
4. 첫 번째의 지적 위기: 시 짓기로부터의 복귀와 헤겔 철학으로의 이행
5. 예니와의 그리고 아버지와의 갈등
제3장 종교철학, ‘청년 헤겔주의’의 시초, 마르크스의 박사학위 논문 기획
1. 마르크스의 베를린 생활(1838-1841)
2. 18세기 그리고 19세기 초의 종교 비판
3. 헤겔의 종교철학과 1830년대의 논쟁
4. ‘청년 헤겔주의’의 단초
5. 바우어와 마르크스
6. 마르크스의 박사학위 논문 기획
[부록] 오늘날 전기 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마르크스 전기의 방법론에 갈음하여
1. 전통적 전기 작성법 비판
2. ‘새로운 전기 작성’을 둘러싼 논쟁
3. 마르크스 전기를 위한 논리적 귀결
참고 문헌
마르크스 엥겔스 저작 색인
인명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