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신화가 뭐길래?
1. 신화는 정동을 일으키는 이야기 026
2. 인간은 왜 신화를 지어내는가? 034
3. 신성한 시가(詩歌), 신비한 지혜 040
4. 문화는 신화적 사유의 끝없는 행렬 045
5. 신화와 무가 그리고 미신 051
2장. 신화 개념의 인식론적 프로필
1. 가장 현실적인 것, 본연의 삶의 시초였던 신화 060
2. 신화라는 말은 우리에게 없던 말이었다 067
3. 뮈토스(mythos)와 로고스(logos), 그 전복의 역사 078
4. 신화에 대한 오인 메커니즘이 빚어낸 억압과 배제의 사건들 100
5. 신성하지도, 신비롭지도 않은 현대판 신화 개념 110
3장. 호모 나랜스(Homo Narrans) 그리고 이야기의 힘
1. 인간은 오래전부터 호모 나랜스였다 116
2. 이야기의 완결은 호모 사피엔스의 욕망 122
3. 이야기가 어떻게 감정을 통일하는가? 129
4. 삶의 신비를 느끼게 하는 은밀한 이야기 144
5. 현대판 신화의 힘 157
4장. 신화는 상징이다
1. 우리가 신화의 의미를 제대로 알 수 있을까? 164
2. 호모 로퀜스(Homo Loquens)와 호모 심볼리쿠스(Homo Symbolicus) 171
3. 상징형식으로서의 신화 185
4. 신화적 사고와 상모적(相貌的) 세계관 198
5. 신화의 해석 207
5장. 신화, 우주적 질서를 말하다
1. 질서의 기반은 ‘처음’을 말하는 것 222
2. 신화적 시간과 신화적 공간의 신비한 특성 235
3. 카오스에서 코스모스로 240
4. 우주적 질서 잡기 246
5. 무한 확장하는 신화적 사유와 현대의 편협한 세계 이해 265
6장. 신화, 생명의 원리를 담다
1. 생명의 정의는 아직 합의되지 않았다 276
2. 생명감정에 의해 비로소 이해되는 신화적 생명 284
3. 한국의 생명신과 인간 생명의 본질적 가치 294
4. 또 다른 생명, 죽음: 한국 무가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 302
5. 생명의 의미가 박탈되는 시대 313
7장. 생명 원리의 상징들
1. 최초의 신은 위대한 어머니 여신 320
2. 생명의 그릇 326
3. 생명의 숨 345
4. 생명의 신성한 길 352
5. 원형적 신화소로서의 꽃과 환생 369
8장. 신화, 사랑의 힘을 말하다
1. 사랑의 꿈과 사랑의 현실 378
2. 사랑과 성애의 이중주 390
3. 그리스 신화와 제주 신화의 사랑 방식 398
4. 사랑은 새로운 ‘길’을 내는 일 409
5. 사물화(事物化)된 현대의 사랑 420
9장. 결어: 새로운 길 찾기
1. 현대판 신화가 넘치는 세계 430
2. 전승 신화와 현대판 신화의 본질적 차이 434
3. 근대 문명에 대한 반성의 길목에서 떠오른 신화적 사유 440
4. 신화적 사유를 회복할 수 있을까? 444
5. 과제는 우리에게 있다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