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편 명고수(名鼓手)이던 한성준(韓成俊)이 어떠한 연유로 무용가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
1. 1930년을 맞이한 무용계의 움직임
- 최승희의 창작무용 제1회 공연회(1930년 2월)
2. 1930년을 맞이한 조선악(朝鮮樂) 관계자들의 움직임
- 조선음률협회의 창립(1930년 9월)
3. 조선음률협회가 시도한 정화(淨化)공연회의 한계
- 조선일보가 주최한 팔도명창대회(八道名唱大會)와 비교해서
4. 조선음률협회의 새로운 시도(試圖)
- 여류명창공연회(女流名唱公演會)
5. 여류명창대회의 각광(脚光) 및 그로 인한 조선음률협회의 균열(龜裂)
6. ‘창극조(唱劇調)’라는 용어가 등장한 의미
7. 최승희의 조선에서의 무용공연에 대한 결산 (上)
- 조선에서 신무용가로 자리 잡은 최승희
8. 최승희의 조선에서의 무용공연에 대한 결산 (下)
- 조선에서 활동하던 신무용가 최승희의 고민과 한계
9. 최승희가 동경에서 한성준을 만났던 이유와 그 의미
10. 조선음률협회의 해체와 조선성악원(朝鮮聲樂院)의 창설
도표 : 〈조선성악원→ 조선음악연구회→ 조선성악연구회〉 변천 과정
11. 조선성악원이 3주도 지나지 않아 와해(瓦解)된 배경
- 조선음악연구회(조선성악연구회의 前身)의 발기·창립 과정
제6편 한성준(韓成俊)의 무용활동의 전개와 결실
1. 한성준에 의한 조선무용연구소의 개설
2. 한영숙이 한성준의 춤 제자로 입문하게 되는 경위
3. ‘한성준의 첫 무용발표회가 1935년에 부민관에서 열렸다’는 지금까지의 인식이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는 이유
4. 한성준의 첫 무용발표회에 대한 단상(斷想)
- 작품은 거의 무용극 형식으로 구성된 것이 아닐까?
5. 한성준의 첫 무용발표회가 실패로 끝난 후의 변화
- 조선음악무용연구회(朝鮮音樂舞踊硏究會)의 창립
6. 1938년의 고전무용대회에서 등장한 ‘태평무’는 1936년에 발표한 「왕의춤」을 명칭만 바꾼 것일까?
그림 : 고전무용대회의 조선음악무용공연회 종목과 출연자
7. 고전무용대회 이후의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공연활동
- 서선순업(西鮮巡業), 남선순업(南鮮巡業)
8. 조선음악무용연구회가 1940년에 펼쳤던 공연들
9. 한성준에게 1941년이란 어떤 의미를 가질까?
10. 1942년 이후에 보이는 한영숙의 공연 활동의 성격
제7편 한영숙의 태평무에는 푸살장단이 왜 들어 있는 걸까?
- 한성준制 태평무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고찰
1. 한성준은 『태평무』의 모태(母胎)가 『왕의춤』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 말에 담겨 있는 의미는?
2. 한성준이 - 『왕의춤』에 만족하지 못하고 - 태평무를 새롭게 창안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3. 한성준制 태평무는 『왕의춤』과 무엇이 달라졌을까?
- ‘장단도 차자내엇고’라는 한성준의 말에 함축된 의미
4. 강선영의 태평무에서 사용하는 장단 편제(編制)
- 한성준制 2인무 태평무를 그려 보기 위한 검토자료(A)
5. 한영숙의 태평무에서 사용하는 장단 편제(編制)
- 한성준制 2인무 태평무를 그려 보기 위한 검토자료(B)
도표 : 한영숙 태평무의 장단 편제를 분석한 논문 내용
6. 한영숙의 태평무에는 푸살장단이 왜 들어 있는 걸까?
7. 언제 한영숙의 태평무가 온전히 모습을 드러낸 것일까?
8. 한영숙류 태평무의 특징과 전승가치
9. 결어(結語)
(하 권) 【지식창고】
17) 조선에서 신무용가로 활동하던 최승희의 한계
- 일본에 다시 가기로 결심한 이유
18) 한성준의 춤에 대한 역량은 널리 알려졌다
19) 한성준의 춤 제자로 강선영이 입문하게 되는 경위
- 학춤에 관한 강선영의 추억
20)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고전무용대회가 개최된 과정
21) 고전무용대회(古典舞踊大會)가 인기를 끌었던 배경
22) 한영숙의 눈으로 본 일본 및 만주(滿洲)에서의 공연
- ‘고희(古稀)기념집’에 실려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23) 한성준의 작고(作故)가 한영숙에게 의미하는 것
24) 한성준의 태평무에 관해 언급되는 무속무용 유래설의 주의사항
25) 한성준이 1938년에 완성한 태평무는 100여(餘) 종의 다른 창작 춤과 어떤 면에서 다른 것일까?
26) 2인무 형태의 태평무 모습을 그려 보기 위한 출발점
- 태평무에 관한 강선영 선생의 어록(語錄)
27) 한성준이 태평무 의상(衣裳)을 수의(壽衣)로 입었다는 의미에 대해
28) 2인무 형태의 태평무에 담겨 있는 한성준의 생각
29) 무형유산 보호 제도의 변천사
- 무용 종목에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저자의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