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Chapter 1 이미지 생성 AI에 대해 알아보자
1-1 AI로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칼럼 : 사용하는 Google 계정에 주의하자
1-2 이미지 생성 AI의 탄생과 변천
1-3 현재 시점에서 ‘AI의 정의’를 생각해 보자
칼럼 : 변화해가는 사회와 AI 사이의 관계성
1-4 인공신경망을 알아보자
1-5 확산 모델에 의한 이미지 생성 원리를 알아보자
Chapter 2 환경 구축을 시작해 보자
2-1 Stable Diffusion을 사용할 환경을 준비하자
2-2 구글 Colab에서 해보는 환경 구축
칼럼 : 이용 중인 프로그램에 대해
칼럼 : 구글 Colab의 에러에 대응하자
칼럼 : 구글 Colab의 연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자
2-3 Stability Matrix를 로컬 환경에서 구축한다
칼럼 : 패키지 선택 화면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주의하자
2-4 간단한 단어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칼럼 : 이미지를 저장할 경로를 변경하자
칼럼 : 커뮤니티에서 질문을 해보자
2-5 모델을 다운로드한다
칼럼 : Stable Diffusion 시리즈
2-6 VAE를 다운로드한다
Chapter 3 프롬프트에서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3-1 프롬프트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내자
칼럼 : CLIP의 제로 샷 전이성
3-2 네거티브 프롬프트를 구축한다
칼럼 : 임베디이란?
3-3 ‘생각대로’ 이미지를 생성하자
3-4 이미지의 해상도를 올리자
3-5 다양한 파라미터를 조정해 보자
3-6 다양한 프롬프트를 테스트해 보자
칼럼 : 데포르메 캐릭터풍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Chapter 4 이미지를 써서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4-1 img2img로 할 수 있는 것을 파악하자
칼럼 : 색의 변화를 억제하는 설정을 해보자
4-2 Sketch를 이용해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칼럼 : 밑그림으로 이미지를 생성해 보자
4-3 Inpaint로 이미지를 편집해 보자
칼럼 : Mask blur를 조정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한다
4-4 Inpaint를 응용해 이미지를 수정한다
4-5 Outpainting으로 이미지를 확장한다
4-6 img2img로 이미지의 해상도를 올린다
칼럼 : 확장 기능에 대해
4-7 확장 기능으로 업스케일링을 해보자
Chapter 5 ControlNet을 활용해 보자
5-1 ControlNet을 알아보자
칼럼 : 오픈 소스 라이선스의 확인
5-2 ControlNet을 다운로드해서 준비한다
5-3 ControlNet을 이용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칼럼 : 둘 이상의 ControlNet을 사용한다
5-4 프리 프로세서의 역할을 이해한다
칼럼 : OpenPose를 더 능숙하게 사용해 보자
Chapter 6 LoRA를 만들어 활용해 보자
6-1 추가 학습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칼럼 : 향후 LoRA의 활용 방법
6-2 LoRA를 이용해 이미지를 생성하자
6-3 자신만의 전용 화풍 LoRA를 만든다
칼럼 : LoRA 학습 데이터에서 조심해야 할 점
칼럼 : 학습률에 대해 알아보자
6-4 다양한 종류의 LoRA를 만들어보자
6-5 학습 내용을 평가해 보자
Chapter 7 이미지 생성 AI를 더욱 활용해 보자
Interview Guest 피나스
Interview Guest 라케시데
이미지 생성 AI의 활용 및 주의점
AUTOMATIC1111/WebUI 추천 확장 기능
관련 용어
맺음말
참고 문헌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