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5
머리말 / 9
1부. 퀴어한 가족-상상하기
1. 어둠을 껴안기 한우리
- 「소니의 블루스」에 나타난 퀴어한 시간 연구 / 15
Ⅰ. 「소니의 블루스」에 나타난 퀴어 시간성 / 15
Ⅱ. 어둠의 은유와 인종적 정체성 / 25
Ⅲ. 블루스에 내재한 고통을 초월하기 / 31
Ⅳ. 어둠을 껴안기: 재탄생과 다시 쓰기 / 39
2. 여성가족사소설 리부트와 ‘이모’의 발명 정미선
- 혈연/법적 친족성을 넘어 가상적 친족성의 탐색으로 / 49
Ⅰ. 이모라는 표상 / 49
Ⅱ. 혈연/법적 친족성의 임계와 이모의 발견 / 56
Ⅲ. 가상적 친족성의 탐색과 이모 표상의 분화 / 72
Ⅳ. 이모-되기와 이모-만들기를 향하여 / 86
2부. 퀴어한 가족-실천하기
3. 지역×청년×퀴어의 삶과 가족커뮤니티 추주희 / 93
Ⅰ. 들어가며 / 93
Ⅱ. 퀴어와 공간, 복합적 차별 / 96
1. 차별의 교차성 문제 / 96
2. 퀴어 커뮤니티와 지역 공간 / 102
Ⅲ.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 106
Ⅳ. 퀴어, 지역에서 살다 혹은 살아남다 / 110
1. 규범적 공간에서 퀴어 수행의 (불)가능성 / 110
2. 지역에 퀴어한 공간은 있는가? / 124
3. 새로운 행동의 영역, 퀴어 커뮤니티 / 137
Ⅳ. 결론 / 148
4. 게이남성 돌봄이 위치한 다층적 풍경 김대현, 김순남, 나영정, 이유나 / 157
Ⅰ. 들어가며 / 157
1. 은폐된 돌봄 관계와 노동을 가시화하기 / 157
2. 게이남성의 존재를 복합적으로 위치짓기 / 160
3. 돌봄과 연루된 게이남성의 경험을 해석하기 / 164
Ⅱ. 첫 세대 비(이성애)혼 게이커뮤니티의 관계돌봄 실천의 조건 / 170
1. 게이 남성의 사회적 배경 및 조건 / 170
2. 게이커뮤니티의 사회적 관계와 재생산 방식 / 184
3. 성적 활력의 문화 속에 소외되는 존재들과 커뮤니티 내부의 차이 / 197
Ⅲ. 퀴어생존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실천으로서의 돌봄 / 206
1. 퀴어친족만들기 장으로서의 돌봄실천과 유대 / 206
2. 이성애규범적인 남성성, 돌봄관계망과 불화하기 / 212
3. 돌봄 실천의 여러 양상들 / 216
Ⅳ. 나가며 /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