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자서
제1장 선에서 유학으로 돌아와 이학을 집성하다
1. 학문을 배워 참선하여 관리가 되다
2. 이학을 집대성하다
3. 이름이 위학의 역당에 놓이다
4. 저작 연대 고석
제2장 이기와 도기가 다르게 나뉘어져 유행함
1. 철학의 논리적 구조
2. 형상학의 추구
3. 이기(理氣) 도기(道器) 체용(體用)
4. 기(氣)와 기(器), 음양의 기능
5.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원융(圓融)
제3장 우주 천문과 기상 자연
1. 우주 구조의 진화
2. 천체의 운행과 역법(曆法)
3. 기상 음양 조석(潮汐)
4. 실리(實理) 실학(實學) 실험(實驗)
제4장 형신과 혼백 귀신의 굴신
1. 형체 신지(神知) 음양
2. 영혼과 체백의 관계
3. 귀신의 실제적인 이치
제5장 상수와 의리, 변역과 교역
1. 상수와 의리를 겸하여 종합하다
2. 변역과 교역이 회통하다
3. 하락(河洛)의 기우생극(奇偶生克)
제6장 1·2의 동정이 중용을 변화시킨다
1. 1이면서 2이고 2이면서 1이다
2. 동정의 대립과 융합
3. 점화(漸化)와 돈변(頓變)의 신생(新生)
4. 중용은 과와 불급이 없다
제7장 격치의 심사는 지경과 지행
1. 격치는 천리의 체험
2. 활연관통을 누적시키다
3. 지각(知覺) 심사(心思) 여의(慮意)
4. 지경(持敬)과 거욕(去欲)의 주체
5. 지행은 선후로 호발한다
제8장 심성정재는 천지의 기질
1. 인성(人性)과 물성의 이동(異同)
2. 천지와 기질의 성
3. 심성·도심·인심
4. 성·정·재가 마음을 통섭한다
제9장 미와 선, 문과 도, 시와 이의 자연스러움
1. 선(善)·신(信)·미(美)·대(大)·성(聖)·신(神)
2. 문도합일의 요지
3. 시리(詩理)는 시교(詩敎)를 떠나지 않는다
4. 평담하고 자연스러운 규모
제10장 중농으로 원류를 연 정전과 화폐제
1. 빈부를 도에 합당하도록 취하다
2. 민생의 근본은 농업에 있다
3. 적게 취하고 사치를 검소하게 하여 중도에 알맞게 하다
4. 부세를 절용하고 구휼하다
5. 근본에 힘쓰고 절용함이 나라를 풍족하게 하는 도
6. 화폐 유통의 경중
7. 정전(井田)으로 경계를 바로잡다
제11장 천리 군권은 인재를 덕과 형벌로 다스린다
1. 호령(號令)과 형벌의 상호보완
2. 천리 군권의 이념
3. 집권과 분권의 관계
4. 위정은 덕과 형을 서로 겸한다
5. 현자를 임용하고 능력 있는 이를 부려서 나라를 다스림
제12장 이욕과 의리 삼강오상
1. 천리와 인욕의 관계
2. 의리 도덕 가치
3. 삼강오상과 명교
제13장 심술왕패 원회도통
1. 제왕의 마음은 큰 근본
2. 왕도와 패도의 다스림
3. 원회운세(元會運世)는 순환한다
4. 옛 성인의 도통을 잇다
제14장 경사의 차제는 춘추를 정통으로
1. 사학 대상 범위
2. 취사의 평가 표준
3. 경이 우선이고 사는 다음인 차제
4. 정통을 밝히고 『춘추』를 본받다
5. 본받음과 본받을 수 없음
제15장 인륜교육 소학 대학
1. 인륜의 목표를 밝히다
2. 소학과 대학의 교육
3. 교학 방법 탐색
4. 정밀한 생각 함영과 체찰
제16장 조선과 일본의 관학에서 주자만 높이다
1. 만세의 규범을 세우다
2. 관방 의식 형태
3. 조선과 일본의 관학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