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범죄학 기초
제1장 범죄 8
제1절 범죄의 정의 8
제2절 비범죄화 11
제3절 암수범죄(숨은 범죄) 13
제4절 피해자 없는 범죄 16
제2장 범죄학 22
제1절 범죄학의 의의 22
제2절 범죄학의 연구방법 24
제3장 범죄피해자론 36
제1절 피해자 연구의 의의 36
제2절 피해자학(범죄피해자이론) 37
제3절 피해자화이론과 피해자책임론 41
제4절 피해자 보호 45
제2편 범죄원인론
제1장 고전주의 학파의 범죄이론 70
제1절 고전주의 학파의 기초 70
제2절 고전주의 학파의 주요 연구 71
제3절 현대적 고전주의(신고전주의) 학파 75
제2장 실증주의 학파의 범죄이론 82
제1절 실증주의 학파의 기초 82
제2절 이탈리아 학파의 연구 82
제3절 프랑스 학파의 연구 85
제4절 독일 학파의 연구 89
제5절 기타 연구 90
제3장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98
제1절 생물학적 범죄원인론(범죄인류학이론) 98
제2절 생물사회학적 범죄이론 100
제3절 유전학적 이론 103
제4절 생화학적 이론 105
제5절 기타 이론 107
제4장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116
제1절 서론 116
제2절 정신분석학적 범죄이론 116
제3절 성격과 범죄 118
제4절 정신적 결함과 범죄 121
제5장 환경적 범죄원인론 130
제1절 가정환경과 범죄 130
제2절 학교교육과 범죄 137
제3절 직업과 범죄 138
제4절 자연환경과 범죄 141
제5절 경제환경과 범죄 142
제6절 범죄지리학 145
제7절 사회환경과 범죄 147
제6장 범죄사회학이론 152
제1절 범죄사회학이론 개관 152
제2절 범죄생태학과 사회해체이론 152
제3절 학습이론 155
제4절 통제이론 160
제7장 사회구조이론 174
제1절 사회구조이론 서설 174
제2절 아노미이론(사회적 긴장이론) 174
제3절 갈등이론 178
제4절 범죄적 하위문화이론(문화적 비행이론) 183
제8장 낙인이론과 비판범죄학 198
제1절 낙인이론 198
제2절 비판범죄학 202
제3절 낙인이론과 비판범죄학에 대한 종합평가 205
제9장 범죄이론의 발전 210
제1절 발달 범죄이론 210
제2절 통합적 범죄이론 213
제3편
제3편 범죄유형론
제1장 범죄유형론 서설 222
제2장 전통적 범죄유형 226
제1절 살인범죄 226
제2절 성범죄 228
제3절 강도범죄 234
제3장 특수한 범죄유형 238
제1절 조직범죄 238
제2절 표적범죄 239
제3절 약물범죄 244
제4절 기타 범죄 247
제4편
제4편 범죄대책론
제1장 범죄예측 256
제1절 범죄예측 서론 256
제2절 범죄예측방법 257
제3절 범죄예측의 문제점과 발전가능성 260
제2장 범죄예방 264
제1절 범죄예방모델 264
제2절 구체적 범죄예방방안 269
제3절 범죄예방대책의 발전방향 277
제3장 형사사법절차 284
제1절 공소단계의 형사정책 284
제2절 재판단계의 형사정책 290
제3절 다이버전 306
제4장 형벌론 312
제1절 형벌이론 312
제2절 현행법상 형벌제도 개관 315
제3절 사형제도 316
제4절 자유형제도 320
제5절 재산형제도 331
제6절 자격형제도 344
제7절 기타 형벌 관련규정 346
제5장 보안처분론 354
제1절 보안처분론 서론 354
제2절 보안처분의 법적 성격 355
제3절 보안처분의 기본원리와 적용요건 357
제4절 보안처분의 종류 360
제5절 현행법상의 보안처분제도 362
제6장 소년범죄대책 386
제1절 소년범죄의 일반이론 386
제2절 소년법의 이념과 원칙 등 388
제3절 소년사건 처리절차 - 소년보호사건 393
제4절 소년사건 처리절차 - 소년형사사건 399
제7장 교정론 414
제1절 교정의 의의와 이념 414
제2절 수용자처우모델(교정처우모델) 417
제3절 수용자 구금제도 419
제4절 사회적 처우(개방처우)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