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들어가는 말/ 임신중절, 왜 도덕 문제인가
윤리를 묻는 이유 | 임신중절이란 | 임신중절 물음의 특수성: 그 어디에도 없는 충돌 | 개인적 문제와 정치적 문제 | 세 가지 입장
1장/ 자유주의 입장
권리 이론의 한계 | 태아의 도덕적 지위를 부정하는 워런 | 툴리의 주장은 유아 살해까지도 허용한다 | 임신중절, 무례하지만 부당하지 않다 | 도덕적 회의주의: 모든 입장은 그저 하나의 기호다
2장/ 보수주의 입장
자연법과 보수주의 | 미끄러운 언덕길 논증 | 수정은 도덕적으로 왜 중요한가 | 인간 생명의 시작에 관하여 | 출생의 의미
3장/ 도덕적 지위론
도덕적 지위란 무엇인가 | 도덕적 지위를 정하는 기준들 |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능력 | 유정적 존재의 경계
4장/ 죽음은 왜 악인가
에피쿠로스 논증 | 미래 가치 손실 논증 | 미래 가치는 누가, 더 지니는가 | 자아동일성과 죽음의 악
5장/ 자아동일성 입론
잠재성 논증 | 잠재적인 존재 | ‘될 잠재성’과 ‘산출할 잠재성’ | 단계 이론과 과정 이론 | 수정 논증과 분절 논증
6장/ 가치 논변
권리 논변 대 가치 논변 | 태아는 본래적 가치를 지닌다 | 가치 논변의 실천적 함의와 그 비판 | 이론적 한계 | 죽임과 죽음
7장/ 정당방위
이중효과 원리 | 정당방위 권리 | 누구의 생명을 구할 것인가 | 딜레마
8장/ 의학의 발달
생식보조 의술이 가져온 것 | 새롭게 논의되는 잠재성 논증 | 확률적 존재들 | 사후피임약의 윤리 | 성윤리 문란이냐 여성 해방이냐
9장/ 페미니즘
핵심은 생명이 아니라 성 | 도덕적 칭찬을 받겠지만 | 여성 해방과 미래지향적 책임 | 신체적 자율권 | 임신중절 권리와 양성평등
맺는말/ 사회적 임신중절
반성적 평형의 방법과 신보수주의 | 공공 정의에 관한 물음 | 또 하나의 성 불평등 그리고 사회적 임신중절 | 윤리의 상향평준화: 남성에게도 동등한 책임을
부록/ 임신중절과 법: 헌법재판소 결정에 관한 ‘윤리 법정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