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도입 비판적 언어 연구와 국어교육의 접점
1. 국어교육에서 비판적 언어 연구의 필요성
2. 비판적 언어 연구의 대상과 영역
3. 국어교육에서의 비판적 언어 연구와 쟁점
4. 정리와 전망
1부 비판적 담화 분석과 비판적 수용 교육
1장 비판적 담화 분석의 국어교육적 적용
1.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의 관련성
2. 비판적 담화 분석을 활용한 국어교육의 내용 구성 방향
3. 비판적 담화 분석을 활용한 국어과 교재 구성 방향
4. ‘뉴스 댓글의 비판적 수용’ 단원 구안의 예시
5. 정리와 전망
2장 연설 교육에서 비판적 담화 분석의 활용
1. 비판적 담화 분석과 연설 교육으로의 적용
2. 화법 교육에서 비판적 담화 분석 관련 연구
3. 연설 담화의 비판적 분석 요소 초점화
4. 연설 담화의 비판적 분석과 교수학적 변환의 방향
5. 정리와 전망
3장 복합양식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 교육 내용
1. 비판적 수용 대상으로서 복합양식 텍스트
2. 국어교육에서 비판적 수용의 영역 통합성
3. 복합양식 담화 분석의 국어교육적 적용 방향
4. 복합양식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에 관한 교육 내용 구성
5. 정리와 전망
4장 복합양식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과 활동 구안
1. 복합양식 텍스트 이해와 탐구의 가치
2. 복합양식 텍스트에서 ‘소거’와 ‘현저성’의 분석 요소
3. 환경 분야 다큐멘터리의 비판적 분석 사례
4. 복합양식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 활동 구안
5. 정리와 전망
5장 광고의 비판적 수용을 위한 교육 자료 재구성
1. 광고의 비판적 수용 교수-학습 필요성
2. 국어 교과서에서 광고 관련 내용 확인
3. 복합양식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 층위와 요소
4. 광고의 비판적 분석 요소 초점화와 학습 활동 재구성
5. 정리와 전망
2부 인지의미론과 어휘 사용 교육
1장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사용 교육 설계
1. 어휘 사용 교육에서 표현 의도 탐구의 중요성
2. ‘표현 의도 탐구’의 실체와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
3. 이론 요소: ‘인지 문법’ 기반 ‘틀과 은유’ 활용 어휘 교육
4. 실천 요소: ‘인지 중심적 텍스트’와 ‘어휘 타당성 탐구 활동’
5. 정리와 전망
2장 틀 의미론과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에의 적용
1. 틀 의미론과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
2. 틀 의미론의 개념과 어휘 의미의 탐구 원리
3.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과 틀 의미론의 접점
4. 신문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타당성 탐구 실제
5. 정리와 전망
3장 개념적 은유와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내용화
1. 개념적 은유와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
2. 타당한 어휘 사용 관련 교육 내용 검토
3. 개념적 은유 관련 논의와 어휘 교육에의 적용 방향
4. 개념적 은유 기반 어휘 사용의 타당성 교육 내용 체계와 실제
5. 정리와 전망
4장 공공언어 교육으로서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 방안
1. 공공언어 교육으로서 어휘 타당성 탐구
2. 공공언어 교육과 어휘 사용 교육의 접점
3. 공공 어휘의 타당성 탐구를 위한 교육 방안
4. 정리와 전망
3부 비판적 언어 인식과 국어 의식 교육
1장 언어 인식 기반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구성
1.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필요성
2. 국어 의식에 관한 개념적 논의와 문제점
3. 언어 인식과 국어 의식의 관련성 탐색
4. 언어 인식 기반 국어 의식 교육 내용의 범주와 요소
5. 정리와 전망
2장 국어 의식 관련 교육과정 내용의 비판적 고찰
1. 국어 의식 교육 내용의 불명확성
2. 국어 의식의 개념적 체계화
3. 국어 의식 관련 교육과정 성취 기준의 비판적 검토
4. 정리와 전망
3장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식 교육의 가능성
1. 다문화 현상과 국어 의식 교육의 필요성
2. 국어 의식 교육 대상으로서 다문화 현상
3. 비판적 언어 인식 대상으로서 다문화 현상을 표상하는 텍스트
4. 신문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과 다문화 국어 의식 탐구의 실제
5. 정리와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