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몸, 얽힘, 기후
1장 ‘환경,’ 몸-기후, 불편함의 인류학
벨리즈의 조각 잠
인류학, 팔 할이 불편함
말뿐이지 않은 말
‘환경’의 반환경주의
몸과 말의 경계를 넘어
존재론적 인류학과 비근대적 사유
2장 기후위기 생략하기
탄소집착 문명
인류세, 쓰레기의 시대
쓰레기가 말하는 시대
지구비등화
기후변화의 치외법권지
지나가는 기후위기
지구에 땅 부쳐 먹는 인간
인트라-액션과 상응
말 안 되는 시대에 소환되는 말들
응함이라는 실재
3장 자연은 하나가 아니다
자연(自然)과 자연(nature)
특별한 동음이의어
번역이 아니다
‘자연(nature)’의 탄생
순수한 자연은 없다
연결되어 있는 자연
‘도시’라는 말과 물질
변화하는 자연
자연이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
4장 연결의 기후
기후의 의미
기후의 조건
탄소, 기온 집중
섭씨 1.5도의 무게
연결의 기후위기
사회기후재난, 복합명사가 필요한 시대
인류세의 기후는 여름
‘선진국’은 없다
5장 몸의 기후, 기후의 몸
기후라는 연대의 힘, 그 힘을 흔드는 위기
고기 좀 먹어본 사람들이 되다
중심의 인간과 대상
‘몸’이라는 거멀못
당신이 배출하는 것이 바로 당신이다
기후의 몸
취약한 방벽들
기후위기, 몸의 위기
몸-기후 얽힘
관계를 앞에 둘 때
기후위기 시대의 중의법
나가며: 쓰레기통 앞에서 머뭇거리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