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1장 우리들의 심장은 연결되어 있다 - 애착의 신경심리적 차원과 생태적 차원의 일원성 -
애착: ‘연속성 아기’의 열린 고리 | 호모 딕티우스: 다양한 관계망을 통한 사회적 체온 조절 | 모두가 모두에게 선물이 되다
2장 이웃 발굴하기, 이웃으로 발굴되기
1. 이웃교육
이웃 발굴하기, 이웃으로 발굴되기 | 이웃-마음 기르기 | 또 다른 가능한 세상
2. 공감사회를 향한 이웃교육
사회는 ‘다른 이에게 뻗는 손’에 의존한다 | 이웃교육의 정체성: 다양성을 더해 가는 삶 | 이웃교육의 방향성: 누구나 ‘연약한 꽃’ | “자유는 성공적인 공동체”
3장 다양한 이웃, 다양성 교육
1. 이웃교육으로서 통합교육
이웃교육과 통합교육 | 통합교육의 신경심리 | ‘사례’에서 ‘사귐’으로
2. 난독인, 구술문화 복원의 교육적 가치
난독증에 대한 통상적인 이해 | 얼렌증후군에 따른 난독증 | 난독증의 재능 | 인류역사에 있어서 구술문화의 위상 | 난독증 이해를 통한 구술문화 복원의 교육적 가치
4장 내 곁의 우리 삶 - 구체의 과학으로서 교육인문학 -
구체의 과학 | 일상의 교육(학)으로서 교육인문학: ‘하나의 교육(one education)’ | 교육인문학의 생태미학적 지평: “도기 위 도공의 손처럼” | 마음의 샘이 일구어지는
5장 장애,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장애학적 특수교육방법론 -
자연선택이론(Darwin) | 진화된 마음 역량 | 장애학적 특수교육방법론 1: 추상에서 구체로 | 장애학적 특수교육방법론 2: “사회적 환경이 인간발달의 출처” | 숨 쉬는 교육은 자란다
6장 AI시대 세 번째 이웃들 - 공존지능으로서 AI 그리고 AI인문학의 제안 -
세 번째 이웃: 다양한 비생명 존재들 | 공존지능으로서 AI 그리고 AI인문학의 제안 | 의식은 의식을 넘어선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