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제1장 공감적 해석학
제1절 언어적 해석학의 비판
1.1. 하버마스의 합리적 해석학
1.2.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제2절 공감적 해석학의 철학사적 단초
2.1. 중국철학의 전통적 감응이론
2.2. 공자철학에서 공감적 해석학의 단초들
제3절 공감적 해석학
3.1. 공감적 이해의 객관성과 공감적 해석학의 과학성
3.2. 자아와 행위에서 의미의 개념
3.3. 공감적 이해와 공감적 해석의 이론
3.4.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에서 해석학과 인식론의 상보성
제2장 공감장의 이론
제1절 아도르노의 ‘문화산업’ 테제
1.1. 문화산업: ‘대중기만으로서의 계몽’의 변증법
1.2. 오판과 비관: 지성과 사유의 말살
1.3. 계몽주의적 언어 순화에 대한 오인
1.4. 수행적 오류와 자가당착들
제2절 하버마스의 지성적 공론장이론
2.1. 공론장의 구조변동
2.2. 공론장의 소통이성적 잠재력
2.3. 공론장의 정치적 기능과 시민사회
2.4. 공론장의 새로운 구조변동
제3절 마르크스와 자유언론의 ‘공감적 언어’
3.1. 마르크스의 ‘지성적 언어’와 ‘정감적 언어’
3.2. 공감적 언어의 개념
제4절 공론장의 3단계 구조변동
4.1. 지성적 공론장에서 공감적 공론장으로
4.2. 소셜 미디어와 쌍방향의 공감적 공론장
제5절 공감장의 이론
5.1. 공감장의 개념과 구조
5.2. 공감장의 기능
5.3. 공감과 언어, 공감장과 공론장의 관계
5.4. 공감장과 공시장公視場의 객관성과 속도
5.5. 공감장의 제3기능: 공감적 해석학의 최종준거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