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석불사
I. 지금까지 DNA에 대한 진실 시비
1. 원인 제공
2. 시비거리들
3. 진실 시비 - 마무리
II. 조성 목적: 수태 점지(受太占指)
1. 옥경 설화
2. 생명 잉태 건축구조
3. 옥녀봉의 의미
4. 토함산 신앙 계승
5. 조성 시기
III. 원형 모색 - 예불 시스템을 바탕으로
1. 건물 구조 - 천상 세계
2. 깨달음의 흐름
3. 석불사 조각의 특징
2장╻불국사
I. 조성의 주인공들
1. 경덕왕과 그의 시대
2. 김대성과 설화
II. 불국사의 건축구조
들어가기 전에
1. 대석단 영역 - 불국사의 파사드
2. 대웅전 영역 - 현실 불국토
3. 극락전 영역 - 경덕왕의 능사
3장╻석불사와 불국사, 유기적인 연결 관계
I. 상하 관계, 유기적 선례들
1. 신라 - 남산 지역
2. 옛 백제 지역
II. 석불사 ㆍ 불국사, 두 사찰의 유기적인 관계
1. 토함산에서, 토와 함의 의미
2. 전세야양과 현생이친 관계
3. 위치적 관계 - 음양(상/하, 동/서, 능/곡)
4. 교리적 관계
5. 양식적 관계
6. 생태 시스템적 관계
제2부: 비잔틴 성당과 고딕 성당
1장╻비잔틴 성당
I. 비잔틴 성당의 역사적 변천
1. 종교 건축의 형성
2. 기독교 건축의 탄생(1~3세기)
II. 비잔틴 성당에 담긴 의미들
1. 기하, 빛, 돔, 공간, 이콘의 향연
2. 석불사와 비교
2장╻고딕 성당
I. 고딕 성당의 역사적 변천
1. 고딕 이전 - 로마네스크 시대(8~12세기)
2. 고딕 성당의 등장
3. 국제주의 양식
4. 지역주의 양식
5. 개체주의 양식
II. 고딕 성당에 담긴 신앙의 의미들 814
1. 기둥
2. 천장
3. 그림창
4. 음향
5. 외부 형태
6. 진입공간
7. 보이지 않는 의미
8. 고딕 성당 마무리
3장╻사찰과 성당 비교
I. 예불과 예배, 순서 비교
1. 욕계에 해당
2. 색계에 해당
3. 무색계에 해당
4. 정토계에 해당
5. 휴머니즘을 위한 예배와 예불
6. 보다 효과 있는 예배와 예불을 위해
II. 예배 시스템에 따른 진입공간 비교
1. 종소리 ≒ 범종소리
2. 아트리움 ≒ 냇가에서 일주문 앞까지
3. 포털 및 나르텍스 ≒ 합장 및 일주문
4. 라빌린트 ≒ 오솔길 → 사천왕상
5. 네이브 ≒ 백운교 → 청운교
6. 트란셉트 ≒ 대웅전 마당
7. 앱스 ≒ 대웅전 법당
III. 불교 ㆍ 기독교, 두 건물의 건축적 구조 비교
1. 예배 시스템으로 나타낸 시각미 - 석불사와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을 중심으로
2. 건축미로 나타낸 시선미 - 바실리 성당과 석불사 ㆍ 불국사를 중심으로
IV. 불교와 기독교, 문화의 공통점과 상이점
1. 공통점
2. 상이점
마무리하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