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은행나무 이름과 혼인 방식
1. 이름 유래
2. 중매쟁이 바람과 혼인
2부 불교와 은행나무 38
1. 수행과 은행나무
2. 의상과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3. 지눌과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4. 공민왕과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5. 원효와 거창 고견사 은행나무
3부 성리학과 은행나무
1. 행단과 은행나무
⑴ 행단 기원과 해석
⑵ 은행나무 행단의 사례
2. 조선의 국공립학교와 은행나무
⑴ 서울 성균관 은행나무
⑵ 전북 전주향교 은행나무
⑶ 전북 장수향교 은행나무
3. 조선의 사립학교와 은행나무
⑴ 경북 영주 소수서원 은행나무
⑵ 대구 달성 도동서원 은행나무
⑶ 경북 김천 섬계서원 은행나무
⑷ 경북 청도 자계서원 은행나무
4. 성리학자와 은행나무
⑴ 정영방과 영양 서석지 은행나무
⑵ 김세중과 청도 하평리 은행나무
⑶ 윤효정과 해남 녹우당 은행나무
⑷ 손중돈과 경주 관가정 은행나무
⑸ 정구와 행동재 은행나무
⑹ 성안의와 부용정 은행나무
4부 신화와 은행나무
1. 기네스북 등재와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2. 금성대군 죽음과 영주 금성신단 은행나무
3. 상여 소리와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4. 도사 지팡이와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5. 뱀과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6. 처녀 죽음과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7. 노승 부적과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8. 승려 신통력과 강화 전등사 은행나무
5부 은행나무 축제와 더불어 삶 : 보령시 청라은행마을축제
1. 청라마을 은행나무 탄생과 오서산
2. 토정 이지함 조카 이산광과 ‘귀학송’
3. 신경섭 가옥 은행나무와 청라은행마을축제 의미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