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장 한국 근대미술의 장을 열다
나혜석 | 자화상, 멜랑콜리를 넘어
백남순 | 낙원, 그리고 ‘신여성’의 꿈
정찬영 | 규수가 아닌 ‘화가’가 된다는 것
박래현 | 전통을 넘어선 서정의 미학
천경자 | 치열했던 저항의 삶과 예술
심죽자 | 정물과 풍경 사이의 꽃 그림
김정자 | 디자인에서 판화까지, 전방위적 예술가
신금례 | 자연, 그 모성적 은유의 세계를 탐색하다
박인경 | 자연을 품은 담담한 수묵추상화
2장 회화와 조각의 현대성을 추구하다
이성자 | 대지와 우주로 이어지는 유목적 여정
나희균 | 나 홀로 고요의 빛을 탐구하다
이수재 | 동양적 감수성으로 물든 서정적 추상 풍경화
방혜자 | 자연에 근간한 모성적 아우름의 미학
이신자 | 씨실과 날실로 새기는 삶의 매듭
성옥희 | 아르카디아를 향한 태피스트리
김정숙 | 한국 현대 조각으로의 비상(飛上)
윤영자 | 모성으로 빚은 생명주의 조각
김윤신 | 추상조각이 만들어낸 생명의 리듬
강은엽 | 상호의존적인 존재의 울림
임송자 | 조각이 묘사해낸 현대인의 실존적 초상
김혜원 | 조각으로 탐구한 여성 신체의 가능성
3장 추상회화를 실험하다
석란희 | 자연과 인간이 공명하는 세계
최욱경 | 시대적 과제에 응전한 추상표현주의자
조문자 | 척박한 광야에서 예술혼을 꽃피우다
양광자 | 그의 붓이 닿을 행선지는 무한하다
심경자 | 가르마, 포용과 화해로 살아감의 모양
전준자 | 기운생동하는 회화의 축제
홍정희 | 나와 세계의 경계에 선 따뜻한 추상
차우희 | 노마드적 삶, 예술을 위한 항해
노정란 | 심상의 색, 원숙한 아름다움으로 완성되다
김수자 | 바느질로 직조한 일상의 기록
이정지 | 대안적 추상미술의 가능성을 선보이다
이향미 | ‘색’을 화두로 그 경계를 실험하다
진옥선 | 단색화로 그려낸, 답을 찾아가는 여정
4장 한국화의 동시대성을 모색하다
이인실 | 산수화로 그려낸, 멀지 않은 곳의 풍경
문은희 | 먹선에 실린 실존적 고뇌의 자화상
장상의 | 삶이 응축된 기억을 화폭에 담다
이숙자 | 채색화의 정통성을 계승한 한국적 회화
허 계 | 소나무로 표현한 한국적 구상회화
원문자 | ‘부드러운 욕망’ 속의 열정
송수련 | 스러지는 것들에 숨결을 불어넣다
차명희 | 선을 통해 공간과 공감을 탐구하다
백순실 | 생의 연가, 자연과 감각의 공명
김보희 | 무위(無爲)의 실험, 색채가 있는 풍경화
오숙환 | 먹으로 그린 투명한 빛과 보이는 바람
신산옥 |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 현대의 수묵
홍순주 | 결과 겹으로 엮어낸 동양적 미학
정종미 | 한국화의 경계를 넘어선 종이와 색채 실험
5장 조각의 영역을 넓히다
정보원 | 다양한 감각을 공간감으로 조형화하다
신옥주 | 외강내유의 역설, 철로 주조한 추상조각
박일순 | 자연에서 출발한 공감의 미학
박상숙 | 환경 속의 인간을 정감 어리게 담아내다
박 실 | 존재의 수수께끼를 탐험하는 시간여행
한애규 | 흙으로 빚어낸, 삶을 향한 열망
배형경 | 청동으로 사유하고 청동으로 깨어나다
박소영 | 조각의 개념부터 껍질까지 아우르다
김주현 | “단순하게 복잡한” 구조의 세계
주석│필진 소개│도판 목록│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