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2
p·a·r·t 1 언어의 기초
Chapter 1 서론 14
1. 언어의 정의와 중요성 14
2. 유아 언어 교육의 중요성 16
3. 언어학적 기초 17
1) 언어학의 분야 17
2) 언어의 구조와 구성 요소 21
3) 언어의 특성 24
4) 언어의 형태 25
5) 언어의 기능 26
4. 뇌의 발달과 언어 27
Chapter 2 언어와 문자의 역사 33
1. 언어와 문자의 역사 33
2. 그리기에서 문자로의 발전 과정 36
3. 문자의 선행자 41
4. 쓰기의 재료 45
p·a·r·t 2 언어 발달
Chapter 3 언어 발달 이론 48
1. 행동주의 이론 48
2. 생득주의 이론 49
3. 구성주의 이론 52
Chapter 4 언어 발달에 대한 관점 56
1. 읽기 준비도 관점 56
2. 발생적 문해 관점 58
3. 언어 발달 관점의 변화와 의사소통 영역 60
4. 개인차의 이해 64
Chapter 5 음성 언어의 발달 66
1. 언어 이전 시기 67
1) 울음 67
2) 미소와 웃음 69
3) 소리 내기 70
4) 옹알이 70
5) 베이비 사인 71
2. 언어 시기 72
1) 한 단어기 73
2) 두 단어기 74
3) 문장 사용기 75
3. 음운, 단어,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77
1) 음운 발달 77
2) 단어 발달 78
3)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80
Chapter 6 문자 언어의 발달 88
1. 글에 대한 개념의 발달 88
2. 읽기 발달 90
3. 쓰기 발달 96
Chapter 7 이야기의 발달 104
1. 이야기의 정의 및 특성 104
2. 이야기의 구성 요소와 구조 105
3. 이야기 구성 능력 106
4. 이야기 이해력 107
5. 이야기 짓기 107
6. 이야기 이해력 및 표현력의 향상 110
p·a·r·t 3 유아 언어 교육
Chapter 8 언어 교육의 현황과 강조점 114
1. 언어 교육 현황 114
2. 언어 교육의 강조점 115
Chapter 9 언어 교육·보육과정 117
2019 개정 누리과정·제4차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 영역
1. 교육·보육 목표 118
2. 교육·보육 내용 119
1) 0~1세 의사소통 영역 목표 및 내용 120
2) 2세 의사소통 영역 목표 및 내용 121
3) 3~5세 의사소통 영역 목표 및 내용 122
3. 내용 범주별 목표 및 내용 이해 124
1) 듣기와 말하기 125
2) 읽기와 쓰기에 관심 가지기 127
3) 책과 이야기 즐기기 128
4. 지도 중점 129
1) 듣기 129
2) 말하기 130
3) 읽기 131
4) 쓰기 132
5. 지도상의 유의점 133
6. 교수-학습 방법 134
7. 교사의 역할 135
8. 환경 구성 137
9. 평가 137
1) 평가의 지침 138
2) 평가 방법 139
(1) 관찰척도 139
(2) 평정척도 141
(3) 일화 기록 145
(4) 사건 및 시간 표집법 147
(5) 검사법 149
(6) 교사 제작 검사 149
(7) 언어 수집에 의한 분석법 151
(8) 포트폴리오 151
Chapter 10 유아 언어 지도 방법의 비교 157
1. 언어 경험 접근법 159
2. 시각단어 제시에 의한 언어 지도 방법 162
3. 분석적 언어 지도 방법 163
4. 총체적 언어 지도 방법 167
5. 균형적 언어 지도 방법 171
Chapter 11 교사의 언어적 상호 작용 방법 178
1. 교사의 언어적 상호 작용의 원칙 179
2. 교사의 바람직한 대화 방법 180
3. 교사의 반응적 언어와 제한적 언어 182
1) 반응적 언어 183
2) 제한적 언어 184
4. 교사의 발문법 186
1) 발문의 종류 186
2) 교사의 발문 지침 189
5. 대·소집단 시 언어적 상호 작용 방법 191
p·a·r·t 4 유아 언어 교육의 실제
Chapter 12 영역별 언어 지도 방법 194
1. 듣기 지도 194
2. 말하기 지도 198
3. 읽기 지도 199
4. 쓰기 지도 200
Chapter 13 유아교육기관의 일과를 통한 언어 교육 201
1. 자유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 교육 201
1) 언어 영역 201
2) 수·조작, 과학, 요리, 쌓기, 미술, 목공, 물·모래, 컴퓨터, 음률 영역 204
3) 역할놀이 영역 206
2. 대·소집단 활동 215
1) 이야기 나누기 215
2) 동시 218
3) 주제환상극 224
4) 융판 자료 227
5) 퍼펫과 인형극 227
6) 구연동화 231
7) 매체를 이용한 동화 감상 234
8) 동화 재구성하기 236
9) 현장 학습 238
Chapter 14 다양한 유아 언어 교육 239
1. 문학에 기초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 239
1) 문학 감상 활동 프로그램 239
2) 문학 교육 프로그램 240
3) 문학에 기초한 교과 교육 프로그램 241
4) 문학에 기초한 통합 교육 프로그램 242
5) 책 주제 중심의 문학 교육 프로그램 243
2. 문학적 접근에 의한 언어 교육 245
1) 운영 시 주의점 247
2) 지도 과정 248
3. 몬테소리 언어 교육 267
Chapter 15 신문을 활용한 언어 교육 272
1. 신문 활용 교육의 의의 272
2. 신문 활용 교육의 실제 273
1) 놀이로 시작하기 273
2) 그림 자료를 활용한 언어 활동 275
3) 글자를 활용한 언어 활동 278
3. NIE 활동 계획안의 예 280
Chapter 16 가정·초등학교 교육과의 연계 282
1.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연계 282
2. 언어 발달을 돕기 위한 부모의 역할 283
3. 언어 교육에 동참하기 285
4.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287
p·a·r·t 5 활동의 실제
1 듣기와 말하기 290
1. 말이나 이야기를 관심 있게 듣기 291
2. 자신의 경험, 느낌, 생각 말하기 294
3. 상황에 적절한 단어를 사용하여 말하기 296
4.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관련해서 말하기 298
5. 바른 태도로 듣고 말하기 300
6. 고운 말 사용하기 302
2 읽기와 쓰기에 관심 가지기 304
1. 말과 글의 관계에 관심 가지기 305
2. 주변의 상징, 글자 등의 읽기에 관심 가지기 307
3. 자신의 생각을 글자와 비슷한 형태로 표현하기 309
3 책과 이야기 즐기기 311
1. 책에 관심을 가지고 상상하기를 즐기기 312
2. 동화, 동시에서 말의 재미 느끼기 314
3. 말놀이와 이야기 짓기를 즐기기 316
부록
평가 도구 319
1. 듣기 검사 320
2. 글에 대한 개념 검사 324
3. 읽기 검사 328
4. 쓰기 검사 331
5. 이야기 이해력 검사 335
참고 문헌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