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CHAPTER 1 동화구연의 이해 15
1. 스토리텔링의 정의 17
2. 구연(storytelling)의 정의 19
1) 구연동화(일반구연) 21
2) 음악을 이용한 구연 21
3) 그림을 이용한 구연 22
4) 사물을 이용한 구연 23
3. 동화구연(story telling) 24
1) 동화구연의 정의 24
2) 동화구연의 요소 25
4. 동화구연의 역사 26
1) 노변동화 27
2) 주일학교동화 27
3) 유치원동화 28
4) 소파 방정환의 동화구연 활동 28
5) 라디오방송동화 29
6) 미디어동화 29
7) 동화구연전문가의 활동 30
5. 동화구연의 교육적 가치 31
6. 동화 구연전문가 33
■ 1장 동화구연의 이해 :: 문제 36
CHAPTER 2 아동문학의 이해 45
1. 아동문학의 정의 48
2. 아동문학의 특성 49
1) 예술성 49
2) 흥미성 49
3) 단계성 50
4) 교육성 51
5) 단순명쾌성 51
3. 아동문학의 분류 53
4. 동화의 정의 54
5. 동화의 장르 56
1) 전래동화 56
2) 환상동화 57
3) 생활동화 58
4) 지식정보동화 59
5) 패러디동화 60
6. 그림책의 이해 61
1) 그림책의 정의 61
2) 그림책의 종류 61
3) 그림책 읽어 주기의 효과 67
■ 2장 아동문학의 이해 :: 문제 71
CHAPTER 3 아동발달의 이해 85
1. 아동문학의 이론적 접근 88
1)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이론 88
2)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92
3)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97
4) 사카모토(阪本一郞)의 독서 발달단계 104
2. 연령별 발달 특성과 그림책 106
1) 출생 ~ 12개월 106
2) 1세 108
3) 2세 110
4) 3세~ 5세 112
■ 3장 아동발달의 이해 :: 문제 115
CHAPTER 4 아동문학의 역사 121
1. 구비문학 124
2. 옛이야기 128
1) 옛이야기의 특징 128
2) 옛이야기의 교육적 가치 130
3)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방법 131
3. 한국아동문학의 역사 132
1) 태동 초창기 132
2) 발흥 성장기 133
3) 암흑 수난기 135
4) 광복 혼미기 135
5) 통속 팽창기 135
6) 정리 형성기 136
7) 전환 발전기 137
4. 외국아동문학의 역사 142
1) 15~18세기 142
2) 19세기 143
3) 20세기 144
■ 4장 아동문학의 역사 :: 문제 156
CHAPTER 5 구연(storytelling) 방법 161
1. 호흡법 164
1) 호흡의 정의 165
2) 복식호흡 훈련 방법 166
2. 발성법 169
1) 발성기관 170
2) 공명기관 170
3) 발성 훈련 방법 171
3. 발음 175
1) 모음 연습 177
2) 자음 연습 178
3) 조음기관 강화 훈련 180
4) 다양한 발음 연습 181
5) 정확한 발음 182
4. 화술 184
1) 해설구연 184
2) 성대모사 187
3) 띄어 읽기의 중요성 198
4) 구연을 위한 화술의 기본 요소 199
5) 제스처(gesture) 204
5. 동화구연대회 심사 기준 207
1) 내용 심사 208
2) 화술 심사 208
3) 태도 심사 209
4) 반응 심사 209
■ 5장 구연 방법 :: 문제 210
CHAPTER 6 개작의 이해 221
1. 개작의 필요성 223
2. 개작의 원리 225
1) 보존 225
2) 삭제 225
3) 첨가 227
3. 개작 방법 228
1) 내용의 개작 229
2) 형태적 개작 230
3) 수사법 232
4. 개작의 예 239
■ 6장 개작의 이해 :: 문제 244
CHAPTER 7 교수매체의 이해 249
1. 교수매체의 필요성 252
2. 교수매체의 종류 255
1) 그림동화 255
2) 융판동화 262
3) 자석동화 264
4) 입체동화 264
5) 기타 다양한 교수매체 266
3. 학습자 중심 교수매체 269
■ 7장 교수매체의 이해 :: 문제 271
CHAPTER 8 동화구연 수업의 이해 277
1. 동화구연 수업의 특징 280
1) 문학에 대한 이해교육 282
2) 감상표현교육 284
3) 총체적 언어교육 285
2. 동화구연 수업 시 교사의 역할 289
1) 정서적인 안정감 제공하기 289
2) 사회적 기술 장려하기 290
3) 사고 촉진자로서 비계설정하기 290
4) 교사의 질문 방법 이해하기 291
5) 동화구연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지식 292
3. 동화구연 수업의 계획 294
1) 통합적 교육계획 295
2) 수업계획서 작성 원칙 295
3) 수업계획서 작성 방법 297
4. 동화구연 수업의 실제 298
■ 8장 동화구연 수업의 이해 :: 문제 309
참고문헌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