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5
1부 유아와 아동 이해 17
1장 유아의 애착과 기질 18
1. 유아의 애착 19
1) 애착의 중요성 19
2) 애착의 발달 단계 21
2.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 23
3. 애착관계의 지속성 및 변화 가능성 29
1) 애착의 변화 가능성 29
2) 애착형성에 대한 오해들 31
4. 분리불안장애 아동 33
1) 분리불안장애의 특징 및 증상 33
2) 분리불안장애의 원인과 치료 35
5. 유아의 기질 37
2장 대상관계이론에 따른 유아 이해 42
1. 클라인의 관점: 편집 분열 극복하기 43
1) 원초적 환상과 시기심 43
2) 발달 단계 44
3) 발달 단계의 부적응에 따른 상담 49
2. 말러의 관점: 분리개별화 성공하기 51
1) 자폐 단계 51
2) 공생 단계 52
3) 분리개별화 단계 54
4) 발달 단계의 부적응에 따른 상담 59
3. 위니컷: 모성적 돌봄 환경 제공 60
4. 대상관계(표상)가 성격에 미치는 요소 62
3장 성격 발달에 따른 건강한 아동 68
1. 유아기의 성격 발달 69
1) 자율성 확립 69
2) 부모의 역할 71
2. 유치기의 성격발달 72
1) 건강한 주도성 확립 72
2) 부모의 역할 73
3. 아동기의 성격발달 74
1) 근면성 확립 74
2) 부모의 역할 75
4. 건강한 발달을 위해 아동에게 필요한 것 76
1) 좋은 부모와 좋은 가정환경 76
2) 개인적 욕구 충족 80
3) 부정적인 요인 해결 82
4장 인지 발달 86
1. 아동의 인지 장애 87
1) 자아중심성(egocentrism) 87
2) 가역성(reversibility) 장애 88
2. 아동의 인지 발달 90
1) 인지 발달 개념 90
2) 인지 발달 단계 92
3. 인지수준에 따른 아동상담 99
2부 아동상담과 상담자의 역할 101
5장 아동상담의 과정 102
1. 상담실의 물리적 환경 구성 103
1) 상담실의 물리적 구성 103
2) 치료 도구 준비 104
2. 접수면접(초기면접) 105
1) 접수면접 실시 방법 105
2) 아동과 초기면접할 때 주의점 108
3. 상담의 과정 110
1) 초기 상담 111
2) 중기 상담 118
3) 말기 상담 122
4) 상담에 대한 저항 처리 124
6장 아동 심리검사와 평가 126
1. 심리검사의 역할과 목적 127
1) 심리검사 평가 과정 127
2) 심리검사 선택 시 고려사항 128
2. 검사의 종류 130
1) 행동평가 척도 130
2) 지능검사 132
3) 성격검사 134
4) 벤더-게슈탈트 검사(BGT) 137
5) 그림검사 138
7장 아동상담자의 역할 158
1. 아동이 겪는 어려움 159
2. 상담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0
1) 내담자 요인 161
2) 상담자 요인 164
3. 아동상담의 특성 및 상담자의 역할 167
1) 아동상담의 특성 167
2) 아동상담자의 역할 170
4. 아동상담관련 상담자 윤리 174
8장 아동상담 기법 178
1. 놀이를 활용한 기법 179
1) 놀이의 기능과 가치 179
2) 놀이치료의 목적 183
3) 놀이매체 184
4) 놀이치료의 실제 187
5) 치료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 193
2. 미술을 활용한 기법 194
1) 미술의 의미와 가치 194
2) 미술치료의 목적 196
3) 미술작품 해석 197
4) 미술치료의 실제 199
3부 청소년 이해와 상담 201
9장 청소년의 특징 202
1. 청소년의 정의와 특징 203
1) 청소년의 정의 203
2) 청소년의 특징 205
2. 미디어와 이성교제 214
1) 청소년과 미디어 214
2) 청소년과 이성교제 217
3.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 221
1) 초ㆍ중기 청소년의 특성 이해 222
2) 후기청소년(청년)의 특성 이해 227
10장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234
1.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235
1) 자아정체성의 의미 235
2) 자아정체성 형성 과정 237
2. 자아정체성 혼란 239
1) 자아정체성 위기 239
2) 자아정체성 혼란의 문제점 241
3. 자아정체성 성취 243
4. 성정체성 형성 245
1) 기독교적 성정체성 245
2) 발달 단계에 따른 성교육 247
5. 획득해야 할 발달과제 249
1) 초ㆍ중기 청소년의 발달과제 249
2) 후기청소년의 발달과제 251
11장 청소년상담 254
1. 위기에 처한 청소년 255
1) 위기 청소년의 심리 255
2) 갈등 관계에 있는 청소년 256
3)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청소년 258
4) 청소년상담의 영역 260
2. 청소년 문제 261
1) 성문제 261
2) 청소년 비행 266
3) 집단 따돌림 269
4) 각종 중독 271
5) 학습 부진 275
3. 청소년상담의 기술 277
4 청소년상담자의 자질 281
1) 효과적인 상담자 281
2) 인간적인 자질 282
5. 부모 교육 285
4부 건강한 부모와 건강한 가족 289
12장 부모의 양육태도와 건강한 자녀 290
1.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 291
1) 부모의 양육 태도 291
2) 다양한 부모 유형 293
2. 건강하고 바람직한 부모 역할 299
1) 고유한 기질과 성격에 따라 양육하기 299
2) 사랑을 표현하기 302
3) 충분히 칭찬하고 적절히 훈계하기 303
4) 인격적인 태도 유지하기 306
5) 스트레스를 받는 자녀 이해하기 307
6) 문제의 수용 수준 높이기 309
13장 건강한 의사소통 312
1. 건강하지 않은 의사소통 313
1) 판단 소통 313
2) 통제 소통 314
3) 중립 소통 314
4) 우월 소통 314
5) 모순 소통 316
6) 자기화 317
2. 건강한 의사소통 319
1) 판단하지 않기 319
2) 어떤 말이든 수용하기 320
3) "나 메시지" 사용하기 320
4) 공감하기 322
5) 자존감을 높여주기 322
14장 건강한 가족 세우기 326
1. 가족치료의 기본 개념 327
2. 가족치료 이론가에 따른 건강한 가족 228
1) 미누친(Minuchin) 328
2) 보웬(Bowen) 330
3) 사티어(Satir) 331
3. 이론가에 따른 가족상담방법 334
1)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상담 334
2) 보웬의 다세대 가족상담 337
3) 사티어의 의사소통적 가족상담 339
4. 가족의 건강성 343
1) 가족건강성이란 343
2) 한국의 가족건강성 346
부록 349
참고문헌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