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9
들어가기/ 공자철학의 서천西遷과 경험론의 세계사적 승리 ·27
◼ 기원전 공자철학의 서천西遷ㆍ30
◼ 15-16세기 극동문물과 공자철학의 서천 ㆍ49
◼ 17-18세기 공자철학과 극동문화의 서천 ㆍ53
◼ 동서문명의 상호 패치워크를 통한 근대화 ㆍ60
◼ 지물知物을 위한 공자의 경험적 인식론 ㆍ64
◼ 지인知人을 위한 공자의 공감적 해석학 ㆍ78
◼ 경험론과 경험과학의 세계사적 승리 ㆍ94
제1장/ 에피쿠로스의 소박경험론 ·107
제1절/ 교조적 소박경험론과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ㆍ113
1.1. 진리의 척도: 감각과 감정, 기성관념과 정신적 직관 ㆍ113
1.2. 감성에 대한 맹신과 회의론의 감성교조주의적 배격 ㆍ125
제2절/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적(공리적·도구적) 도덕론 ㆍ131
2.1. 쾌락과 행복: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아타락시아 ㆍ131
2.2. 도구적 덕성론과 ‘계약’으로서의 정의론 ㆍ138
2.3. 신을 조롱하는 신학: 신을 ‘실업자’로 만들다 ㆍ148
제2장/ 프랜시스 베이컨의 비판적 경험론 ·155
제1절/ 극동의 경험적 과학기술과 베이컨의 리메이크 ㆍ159
1.1. 중국 과학기술의 서천과 유럽의 르네상스 ㆍ159
1.2. 중국의 경험적 과학기술에 대한 베이컨의 지식 축적 ㆍ175
1.3. 베이컨의 과학기술 유토피아 ‘뉴아틀란티스’는 ‘리틀 차이나’ ㆍ195
제2절/ 베이컨의 비판적·경험론적 자연인식 방법 ㆍ209
2.1. 감각과 경험의 격상과 ‘자연의 해설’ ㆍ209
2.2. 왜곡된 이성을 청소하는 우상 제거작업 ㆍ217
2.3. 종족·동굴·시장·극장의 우상 ㆍ220
2.4. ‘자연의 해설’: ‘사이불학’과 ‘부지이작’에 대한 비판 ㆍ232
2.5. 경험과 실험에 의한 증명 ㆍ232
2.6. ‘꿀벌의 인식론’과 협력적·공익적 지식 ㆍ247
2.7. 베이컨의 비판적 경험론과 근대 자연과학의 탄생 ㆍ256
제3절/ 베이컨의 성선설적 도덕론과 인간파시즘적 자연관 ㆍ263
3.1. 반기독교적 인애본성의 성선설 ㆍ264
3.2. 인간 위주의 자연관과 과학기술적 자연정복론 ㆍ273
제3장/ 토머스 홉스의 에피쿠리언적 경험론과 정치적 절대주의 ·305
제1절/ 홉스의 불타는 종교적 적개심과 반反중국 의식 ㆍ309
1.1. 가톨릭의 동방선교에 대한 불타는 적개심과 두려움 ㆍ310
1.2. 유교적 자유·평등 이념에 대한 홉스의 적대의식 ㆍ311
제2절/ 홉스의 에피쿠리언적 소박경험론 ㆍ313
2.1. 감각과 경험의 교조적 절대화 ㆍ313
2.2. 절대지식(사실지식)과 조건부 지식(추리지식) ㆍ317
제3절/ 합리론적 ‘지혜의 지배’ 논리에 대한 홉스의 비판 ㆍ323
3.1. 능력평등론: 능력의 동일성을 인격의 평등으로 착각 ㆍ323
3.2. 아리스토텔레스의 권력이성과 플라톤의 철인치자에 대한 비판 ㆍ327
제4절/ 홉스의 사이코패스적 양심·동정심·행복개념 ㆍ335
4.1. 다중의 눈치를 보는 사이코패스적 양심 개념 ㆍ336
4.2. 논리적·비非감정적 동정심 개념 ㆍ340
4.3. 즐거움 없는 쾌락주의적·사이코패스적 행복 개념 ㆍ341
제5절/ 신봉건적 절대군주론 ㆍ345
5.1. ‘신봉건 기획’의 의미 ㆍ347
5.2. 자연적 평등의 폐기와 군주제·귀족제의 리세팅 ㆍ357
5.3. 자연적 자유의 폐기와 영국의 ‘귀족적 자유’의 리세팅 ㆍ368
5.4. 불가역적 계약과 ‘참주’로서의 리바이어던 ㆍ392
5.5. 홉스의 성악설과 트라시마코스적 도덕제정론의 자가당착 ㆍ406
5.6. 계약으로 ‘설립’되는 공적 국가의 절대군주 ㆍ417
5.7. ‘획득에 의한 국가’로서의 가부장제 국가 ㆍ433
제6절/ 주권자의 반反교황적 교권과 종교적 불관용 ㆍ451
6.1. 주권자의 교권 장악과 외적 신앙의 불관용 ㆍ452
6.2. 신봉건적 정교일치 체제와 교황간섭의 완전한 차단 ㆍ466
제4장/ 리처드 컴벌랜드의 인애적 자연상태론 ·473
제1절/ 컴벌랜드의 유교적 기본개념들 ㆍ477
1.1. 컴벌랜드의 자연본성적 인애론 ㆍ477
1.2. 유교적 인애 개념 ㆍ479
1.3. 만인의 만인에 대한 인애상태로서의 자연상태 ㆍ483
제2절/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대한 인애론적 비판 ㆍ487
2.1. 인애론적 홉스 비판 ㆍ487
2.2. 사회상태의 감정을 자연상태에 역투입한 부당전제 ㆍ489
2.3. 자연상태에서 도덕규범을 인정하는 자가당착 ㆍ491
2.4. 이성을 ‘전쟁 원인’이자 ‘전쟁 탈피 능력’으로 보는 비일관성 ㆍ492
2.5. 홉스의 오류·사실전도·몰각에 대한 비판 ㆍ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