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8
서문 철학의 초상화 10
철학이라는 연습 10 /칸트의 초상화 13 /개념의 변신 17
1장 『순수이성비판』의 체계 21
사실과 권리 23 / 『순수이성비판』이라는 법정 27 / 이성의 권리 29 /문제성 있는 이념 32 /이념의 규제적 사용 34 /마치 ~처럼 36
2장 『실천이성비판』의 체계 41
자유의 실재성 43 / 자유의 인식근거인 도덕법칙 47 / 우리에게 맨 처음 주어지는 도덕법칙 49 /이념들의 실재성: 영혼의 불사성 53 / 이념들의 실재성: 신 54 / 『실천이성비판』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58 /플라톤과 칸트 60
3장 『판단력비판』의 체계 65
삼비판서의 종합적 관계 67 / 취미판단의 무관심성 70 / 취미판단의 보편성 73 / 취미판단의 합목적성 74 / 취미판단의 필연성 77 /목적론적 판단 82 /칸트의 숭고론 86 /숭고론이 알려주는 것 90
4장 칸트적 이념과 들뢰즈적 이념 97
문제성 있는 이념 99 / 본질적인 것과 비본질적인 것 102 / 차이로서의 이념 105 / 문제제기적 이념 107 / 이념의 세 계기들 110 / 이념의 세 계기들 사이의 관계 116 / 차이의 실재성 121
5장 칸트적 자아와 들뢰즈적 자아 125
칸트적 종합 127 / 나는 생각한다 133 / 내감의 역설 138 / 분열된 자아를 위한 코기토 141
6장 시간의 세 가지 종합 147
시간의 수동적 종합 149 /시간의 첫 번째 종합 152 /시간의 두 번째 종합 154 /시간의세 번째 종합 158
7장 칸트의 도식과 들뢰즈의 드라마화 163
칸트 철학에서 도식론의 지위 165 /도식론의 문제 169 /들뢰즈의 드라마화 172
8장 차이와 강도 177
지각의 예취들 179 / 강도적 크기 183 / 라이프니츠의 미세지각 185 / 라이프니츠와 칸트 190 / 차이와 강도 194 / 강도와 영원회귀 195 /강도의세 가지 특성 198
9장 이념의 현실화 205
이념의 현실화 207 / 초감성계와 감성계 사이의 심연 211 /범형성 214 /상상력의 개입 218
10장 칸트와 들뢰즈의 법(칙) 개념 221
‘텅 빈 형식’으로서의 법 개념 223 / 양심의 역설 226 / 우울증적 법 의식 230 / 분열증적 법 의식 233 / 성의 횡단성 235 / 판례법 239
11장 법과 시간 243
무죄 판결과 칸트 245 / 칸트에서 칸트로 249 / 칸트적 시간과 아리스토텔레스적 시간 252 / 칸트적 시간과 니체적 시간 258 / 행위의 조건인 반복 263 /시간의 해방 265
12장 『판단력비판』으로 삼비판서 다시 읽기 273
공통감각의 전제 275 / 공통감각의 문제 280 / 공통감각과 양식 283 / 역설감각para-sens 285 / 역설감각과 시간 286 / 칸트의 숭고론이알려주는 것 288 /사슬 풀린 작품 290
13장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 295
『순수이성비판』의 상상력의 해방 297 / 『실천이성비판』의 상상력의 해방 301 / 능력들의 초재적 실행 303 / 기호론과 배움론 306 / 능력들의 해방 310 / 초월적 경험론 311 / 감성적인 것의 존재 315 / 감각의 논리 317 / 프루스트와 베이컨 320 / 이론에서는 옳을지 모르지만 실천에는 쓸모없다고 하는 속설 324
참고문헌 330
찾아보기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