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유인문컬렉션을 기획하면서 존재와 치유, 그리고 인문
여는 말
1장 고전치유학을 위하여
1. 공자의 불온(不慍)
2. 굴원의 가이탁(可以濯)
3. 묵자의 거무용지비(去無用之費)
4. 장자의 혼돈(渾沌)
5. 실낱같은 희망으로 고전을 마주하다
2장 원망에 대한 성찰_백이의 마음을 읽다
1. 원망은 프레임이다
2. 백이와 그의 슬픈 노래
3. 문명과 폭력, 그리고 분노와 좌절
4. 백이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5. 공자의 불념(不念)_원망으로부터의 이탈
3장 추모시, 치유로 읽히다_김택영과 황현
1. 치유적 독법과 내적 자정
- 황매천이 순국했다는 소식을 듣고 짓다
- 황매천의 첫 기일에 짓다
2. 가족에 대한 시로 나를 위로 받다
4장 정몽주의 눈물을 갈무리하다_『포은시고』
1. 고서, 암호같은 책
2. 설레임_아마도 풀싹들이 많이 돋았을거야
3. 차분함_내면을 살릴 것인가, 죽일 것인가
4. 아쉬움_산과 물은 옛날과 지금이 같은데
5. 기대와 바람_부지런히 노력하여야 할지니
6. 그리움_당신이 남겨준 아이를 보냈어요
5장 한시(漢詩) 테라피, 우리 곁에
1. 『청춘문답』을 위하여
2. 한시의 모험, 희망을 찾아서
3. 청춘들, 서로 상처를 위로하다
4. 한시, 오늘날 청춘에 새롭게 다가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