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차례
제1부 어휘 교육 총론
제1장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법론
1.1. 한국어 어휘 교육 자료
1.1.1 한국어 어휘의 특징
1.1.2 한국어 어휘의 유형
1.2. 전통 방식의 어휘 교육 방안
1.2.1 어휘 학습 방법
1.2.2 학습 단계별 어휘 교육
1.2.3 의사소통 기능과 연계한 어휘 교육
1.2.4 화용적 정보에 의한 어휘 교육
1.2.5 전통 방식 어휘 교육의 과제
1.3. 디지털 방식의 어휘 교육 방안
1.3.1 디지털 방식의 한국어교육
1.3.2 디지털 방식을 활용한 어휘 교육 도구
1.3.3 디지털 방식을 활용한 주제별 어휘 교육
1.3.4 디지털 방식 어휘 교육의 방향
·더 알아보기
제2장 한국어 어휘 교육의 현황
2.1. 한국어 교재 편찬
2.1.1 한국어 교재의 어휘 교육 내용
2.1.2 구어 어휘 중심의 한국어 교재
2.1.3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재
2.2. 기초 어휘 자료의 구축 및 어휘 사전 편찬
2.3. 한국어교사양성과정의 어휘 교육
2.4. 한국어교원 자격시험의 어휘 평가
2.5. 한국어교사의 어휘 교육
·더 알아보기
제3장 한국어 교육의 어휘 평가
3.1. 어휘 평가의 구성과 체계
3.2. 어휘 평가의 등급별 목표와 기준 및 내용
3.2.1 초급 어휘 평가
3.2.2 중급 어휘 평가
3.2.3 고급 어휘 평가
3.3.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더 알아보기
제2부 어휘의 특성에 따른 어휘 교육
제4장 단어형성법에 의한 어휘 교육
4.1. 단어형성법의 개념과 유형
4.1.1 단일어
4.1.2 파생어
4.1.3 합성어
4.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4.2.1 단일어 교육
4.2.2 파생어 교육
4.2.3 합성어 교육
4.2.4 음성상징어 교육
4.2.5 축약어 교육
4.2.6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4.3. 수업의 실제
4.3.1 수업 모형
4.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5장 어종별 어휘 교육
5.1 한국어 어휘 체계
5.1.1 한국어 어휘 체계의 변천
5.1.2 한자어의 존재 양상
5.1.3 영어외래어의 존재 양상
5.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5.2.1 한자어 교육
5.2.2 영어외래어 교육
5.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5.3. 수업의 실제
5.3.1 수업 모형
5.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6장 위상적 대립관계 어휘 교육
6.1. 위상적 대립의 개념과 유형
6.1.1 집단적 변이
6.1.2 시간적 변이
6.1.3 공간적 변이
6.1.4 화용적 변이
6.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6.2.1 사용 어휘와 이해 어휘에 대한 인식
6.2.2 높임어 어휘 교육
6.2.3 구어 어휘 교육
6.2.4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6.3. 수업의 실제
6.3.1 수업 모형
6.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3부 의미관계에 따른 어휘 교육
제7장 상하관계 어휘 교육
7.1. 어휘장의 개념과 유형
7.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7.2.1 한국어 교육용 어휘장
7.2.2 공간개념어휘장 교육
7.2.3 음식어휘장 교육
7.2.4 요리어휘장 교육
7.2.5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7.3. 수업의 실제
7.3.1 수업 모형
7.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8장 유의관계 어휘 교육
8.1. 유의어의 개념과 유형
8.1.1 유의어의 개념
8.1.2 유의어의 변별 기준에 따른 유형
8.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8.2.1 학습 단계별 유의어 학습 내용
8.2.2 유의어의 학습 방안
8.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8.3. 수업의 실제
8.3.1 수업 모형
8.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9장 대립관계 어휘 교육
9.1. 반의어의 개념과 유형
9.1.1 용어와 개념 정의
9.1.2 의미 특성
9.1.3 유형 분류
9.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9.2.1 학습 단계별 반의어 학습 내용
9.2.2 반의어의 학습 방안
9.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9.3. 수업의 실제
9.3.1 수업 모형
9.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10장 다의관계 어휘 교육
10.1. 다의어의 개념과 유형
10.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10.2.1 학습단계별 다의어 학습 내용
10.2.2 다의어의 학습 방안
10.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10.3. 수업의 실제
10.3.1 수업 모형
10.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11장 동음이의 관계 어휘 교육
11.1. 동음이의어의 개념과 유형
11.1.1 개념 정의
11.1.2 다의와 동음이의의 구별
11.1.3 유형 분류
11.1.4 생성 원인
11.1.5 동음이의어의 생존 경쟁
11.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11.2.1 학습 단계별 동음이의어 학습 내용
11.2.2 동음이의어의 학습 방안
11.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11.3. 수업의 실제
11.3.1 수업 모형
11.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12장 연어 교육
12.1. 연어의 개념과 유형
12.1.1 개념 정의
12.1.2 유형 분류
12.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12.2.1 학습 단계별 연어 학습 내용
12.2.2 연어의 학습 방안
12.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12.3. 수업의 실제
12.3.1 수업 모형
12.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제13장 관용표현 교육
13.1. 관용표현의 개념과 유형
13.1.1 개념 정의
13.1.2 자격 조건
13.1.3 유형 분류
13.1.4 통사적 제약
13.2. 학습 내용과 학습 방안
13.2.1 학습 단계별 관용표현 학습 내용
13.2.2 관용표현의 학습 방안
13.2.3 디지털 방식의 학습 방안
13.3. 수업의 실제
13.3.1 수업 모형
13.3.2 디지털 방식의 모의수업
·더 알아보기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