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과학과 철학
2. 그리스의 자연관
3. 르네상스의 자연관
4. 현대의 자연관
5. 위 견해의 결과들
(1) 더 이상 순환적인 변화가 아니라 진보적인 변화
(2) 더 이상 기계적이지 않은 자연
(3) 목적론의 재등장
(4) 기능으로 이해되는 실체
(5) 최소 공간과 최소 시간
제1부 그리스의 우주론
I. 이오니아학파
1. 이오니아의 자연 과학
(1) 탈레스
(2) 아낙시만드로스
(3) 아낙시메네스
2. 이오니아 자연 과학의 한계
3. ‘자연’이라는 단어의 의미
II. 피타고라스학파
1. 피타고라스
2. 플라톤 : 형상 이론
(1) 형상의 실재성과 지성성
(2) 처음에는 내재적인 것으로, 나중에는 초월적인 것으로 생각된 형상들
(3) 형상들의 초월성은 플라톤의 개념이었는가?
(4) 참여와 모방
(5) 《파르메니데스》 : 내재성과 초월성은 서로를 함축한다.
(6) 크라튈로스가 미친 영향
(7) 파르메니데스가 미친 영향
(8) 성숙해진 플라톤의 형상 개념
3. 플라톤의 우주론 : 《티마이오스》
III. 아리스토텔레스
1. ‘퓌시스’의 의미
2. 스스로 운동하는 자연
3.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 이론
4.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
5. 다양한 부동의 원동자들
6. 질료(물질)
제2부 르네상스의 자연관
I. 16∼17세기
1. 반(反)아리스토텔레스주의
2. 르네상스의 우주론 : 제1단계
3. 코페르니쿠스
4. 르네상스의 우주론 : 제2단계−브루노
5. 베이컨
6. 길버트와 케플러
7. 갈릴레오
8. 정신과 물질 : 물질론
9. 스피노자
10. 뉴턴
11. 라이프니츠
12. 요약 : 그리스의 우주론과 르네상스의 우주론 비교
II. 18세기
1. 버클리
2. 칸트
III. 헤겔 : 현대 자연관으로의 전환
제3부 현대의 자연관
I. 생명이라는 개념
1. 진화론적 생물학
2. 베르그송
II. 현대의 물리학
1. 과거의 물질 이론
2. 물질 이론의 복잡성과 비일관성
3. 새로운 물질 이론
4. 자연의 유한성
III. 현대의 우주론
1. 알렉산더
2. 화이트헤드
3. 결론 : 자연에서 역사로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