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쓴이의 말 : 1학년 교실에서 실천한 다사다난한 수업 연구의 기록
들어가며 : 모두의 발달을 지원하는 교실
1부 같지만 다른 교실
1장 말을 배운다는 것
어린이의 말 발달
말이 지닌 힘 그리고 생각의 발달
한글을 읽지 못한 채 입학하는 것보다 더 큰 문제?
2장 몸짓, 그리기, 그리고 쓰기
표현하려는 욕구, 몸짓
그리기 발달에서 쓰기로
3장 ‘일곱 살의 위기’와 쓰기의 역동
메타 인지는 언제 나타날까?
‘이중의 추상화’를 요구하는 쓰기
2부 모두가 말하는 교실
4장 말을 그려 봐요
소릿값 찾아보기
소리와 문자의 대응 배우기
5장 말을 써 봐요
그리기보다 쓰기가 쉬울 때
말하기보다 쓰기가 필요할 때
6장 내 이야기를 해 봐요
주말 이야기 활동
체험을 언어화한다는 것
7장 친구 이야기를 들으며 읽어 봐요
말은 문장이 될 수 있다
말은 이야기가 될 수 있다
3부 모두가 말하며 쓰는 교실
8장 글자를 몰라도 쓸 수 있어요
낱말 수첩, 그리고 차이가 존재하는 교실
무엇이든 쓸 수 있다
9장 사진을 보고 말하고 써요: 사진 보고 문장 만들기
매개를 통한 회상과 표현
회상을 통한 의미화
세 문장 이상 말하고 쓰기
10장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써 봐요: 함께 쓰는 그림 글쓰기
그림이 매개가 되는 글쓰기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11장 내 경험을 글로 써 봐요: 주제가 있는 글쓰기
내적 말하기에서 쓰기로
쓰기 폭발
12장 말하기에서 쓰기로 넘어가기: 이행적 쓰기 프로그램
말하기에서 쓰기로, 이행적 쓰기 프로그램의 구조화
이행적 쓰기 프로그램의 중심과 주변 활동
어린이의 체험에 바탕을 둔 의미 중심 쓰기
사회적 기능에서 심리적 기능으로의 이행
나가며 : 모두가 어우러져 함께 문해력을 키우는 교실
도움을 준 책과 자료